About This Journal

korean management review - Vol. 49 , No. 3

[ Article ]
korean management review - Vol. 49, No. 3, pp. 523-557
Abbreviation: kmr
ISSN: 1226-1874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0
Received 11 Jan 2020 Revised 17 Mar 2020 Accepted 19 Mar 2020
DOI: https://doi.org/10.17287/kmr.2020.49.3.523

Executive Compens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Mi Joo Lee* ; Haiyang Yu** ; In Tae Hwang***
*Economist, Bank of Korea, First Author
**SL (YANTAI) AUTO LIGHTTING CO., LTD., 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ung-Ang University, Co-Author

임원보수와 기업성과
이미주* ; 유해양** ; 황인태***
*(주저자) 한국은행 (mijoolee@bok.or.kr)
**(교신저자) SL (YANTAI) AUTO LIGHTTING CO., LTD. (haey15@hotmail.com)
***(공저자) 중앙대학교 (ithwang@cau.ac.kr)

Abstract

The literature on agency theory suggests that linking executive compensation to corporate performance is a way of alleviating the agent problem. Therefore, previous research confirm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xecutive compens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research on Korea, however,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the average compensation rather than using executives individual compensations due to a limitation of the data. This is because before the amendment of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Act in 2013, only the total amount of the executives’ compensation was disclosed. However, the individual compensation of executives whose total compensation is more than KRW 500 million is provided by the company from 201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cutive compens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using data of individual compensation of executives for listed companies. In addition, classify executives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and ownership,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nsation of each classification executives and corporate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n the total sample, both stock returns and sales growth rate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xecutive's compensation. However, unlike previous studie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Return on Equity(ROE) or change in Return on Asset(ROA), which are profitability indicators of a company, and executive's compensation. Second the compensation of all executives group, except non-owner executive, is affected by sales growth rate. And these impact of sales growth rate on owner executive disappeared as the ownership percentage increase. However, the compensation of non-owner executive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ROA. This is not only contradictory to previous research but also contrary to common sense.

Overall, sales growth rate is highly related to executives‘ compensation, while ROA and ROE are not related to executive's compensation. That is, sales is a major incentive to executive’s compensation in Korean listed companies. But the increase of company‘s sales does not mean the profit will increase. Therefore, it will potentially lead executive to increase their size or achieve short-term performance, which is more than just quality. It ultimately affect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enterprises and the maximization of corporate valu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governance structures and executive compensation system and monitor the management activities of executives in Korean listed companies.

초록

대리인이론은 경영자와 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를 완화하는 수단으로 성과와 연동하는 보수를 제시한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는 경영자보수와 기업성과 사이에 유의한 양(+)의 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수행된 기존 연구는 자료수집의 한계로 임원별 보수 대신 임원 보수총액을 임원 수로 나눈 평균보수를 사용해왔다. 그러나 2013년 자본시장법이 개정되어 상장법인은 5억원 이상의 보수를 받는 등기임원에 대하여 개인별 보수와 그 구체적인 산정기준 및 방법을 사업보고서에 기재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임원 개인별 보수와 기업성과의 관계를 검증하고, 임원 개인별 직책과 소유권이 보수-성과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상장기업 임원 개인별 보수는 기업의 주식수익률 및 매출액 변화율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총자산영업이익률의 변화 및 자기자본영업이익률의 변화 등 수익성 지표와 임원보수 사이에서는 유의한 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임원의 직책과 소유권 유무에 따라 표본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문경영인의 보수와 기업성과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소유경영인의 보수에는 매출액 변화율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소유경영자 중심의 오너(owner) 경영 선호 경향이 강한 한국 기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임원보수가 주로 매출액에 연동되어 결정되면 경영자에게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보다는 단기적인 성과, 기업규모의 확장 등을 추구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성과를 반영하지 않는 전문경영인의 보상체계도 기업가치 제고에 부합하지 않을 수 있다. 임원보수의 적정성은 절대금액보다는 보수와 성과의 연관성을 기준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 기업이 지배구조를 강화하고 임원의 경영활동을 감시하는 장치를 강화하며 임원의 보수체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corporate performance, compensation-performance sensitivity, executive compensation, individual compensation of executives
키워드: 기업성과, 보수-성과 민감도, 임원 개인별 보수, 임원보수

References
1. 강정민(2014), “개별임원보수 공시 현황과 개선과제,” 경제개혁리포트, 2014(4), pp.1-24.
2. 곽영민·김현진(2017), “최고경영자에 대한 경영권 집중화 수준과 기업가치,” 회계학연구, 24(1), pp.187-226.
3. 금융감독원 보도자료(2013. 11. 14.), 「금융회사의 성과보수체계 점검 결과」, Available at http://www.fss.or.kr/fss/kr/promo/bodobbs_view.jsp?seqno=17305
4. 김태수·정준수·지성권(1999), “한국기업에서 경영자보상과 경영성과간의 관계,” 회계학연구, 24(2), pp. 87-115.
5. 문가영, “국민연금 “임원보수, 정관 한도의 50%가 적정”,” 매일경제, 2020.01.30., Available at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0/01/98888/.
6. 박정국(2015), “임원보수공시제도에 관한 소고: 우리나라 임원보수공시제도의 현황·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서울법학, 23(1), pp.103-141.
7. 염미경(2015), “임원보수 공시에 관한 쟁점의 검토,” 한국금융법학회지, 12(2), pp.241-273.
8. 윤용석·이건·이한상·한승수(2015), “대규모 기업 집단 소속 여부가 임원의 개인별 보수 공시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4(4), pp.1071-1103.
9. 이수원·안유라(2019), “2019년 주주총회 리뷰 - 이사 보수 한도 승인 안건을 중심으로,” 한국기업지배구조원. Available at http://www.cgs.or.kr.
10. 이용훈·홍철규(2014), “회계 성과가 경영자 보상에 미치는 영향,” 회계저널, 23(4), pp.229-266.
11. 이창민·이총희(2019), 임원보수의 성과연동 분석, 경제개혁리포트, 2019(10), pp.1-38.
12. 임형록·오정일(2007), “우리나라 주요 대기업의 임원 임금보상과 임금격차의 적정성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0(3), pp.1193-1211.
13. 정종태(2018), 임원제도와 인사관리, 서울, 한국인사관리협회.
14. 지성권·주태순·안광진(2003), “벤처기업 경영자보상에 대한 실증연구,” 회계저널, 12(4), pp.103-132.
15. 홍철규(2012), “경영진 보상에서 재무성과 정보성의 역할: 시장차이를 통한 분석,” 회계저널, 21(6), pp. 325-347.
16. 황인태(1994), “소유구조가 경영자 보상계약에 미치는 영향,” 회계학연구, 19(1), pp.227-246.
17. 황인태(1995), “경영자보상과 기업성과,” 회계학연구, 20 (3), pp.107-125.
18. Ana Albuquerque(2009), “Peer Firms in Relative Performance Evaluation,”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48, pp.69-89.
19. Antle, R., and Smith, A.(1986),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Relative Performance Evaluation of Corporate Executive,”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24(1), pp.1-39.
20. Balsam, S.(2002), An introduction to executive compensation. Academic Press.
21. Ciscel, D. H. and T. M. Carroll(1980), “The Determinants of Executive Salaries: An econometric Survey,”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2(1), pp.7-13.
22. Coughlan, Anne T. and Schmidt, Ronald M.(1985), “Executive compensation, management turnover, and firm performance: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7(1-3), pp.43-66.
23. Dhaliwal, D. S., Salamon, G. L., & Smith, E. D. (1982), “The effect of owner versus management control on the choice of accounting methods,”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4(1), pp.41-53.
24. Fama, E. F., & Jensen, M. C.(1983), “Agency problems and residual claims,” The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26(2), pp.327-349.
25. George P. Baker, Michael C. Jensen and Kevin J. Murphy(1988), “Compensation and Incentives: Practice vs. Theory,” The Journal of Finance, 43(3), pp.593-616.
26. George J. Benston(1985), “The Self-serving Management Hypothesis: Some Evidence,”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7, pp.67-84.
27. Holmstrom, B.(1979), “Moral and observability,” The Bell Journal of Economics, 10, pp.74-91.
28. Holmstrom, B.(1982), “Moral Hazard in Teams,” The Bell Journal of Economics, 13(2), pp.324-340.
29. InTae Hwang(1993), The Determinants of Executive Incentive Contract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30. Kevin J. Murphy(1985), “Corporate Performance and Managerial Remuneration,”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7, pp.11-42.
31. Kevin J. Murphy(1999), Executive compensation. Handbook of Labor Economics, 3, pp.2485-2563.
32. Lambert, R., & Larcker, D.(1987), “An Analysis of the use of Accounting and Market Measures of Performance in Executive Compensation Contracts,”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25, pp.85-125.
33. McKnight, P., J. Tomkin, C. Weir, and D. Hobson (2000), “CEO Age and Top Executive Pay: A UK Empirical Study,” Journal of Management and Governance, 4(3), pp.173-87.
34. Michael C. Jensen and Kevin J. Murphy(1990), “Performance Pay and Top-Management Incentive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8(2), pp.225-264.
35. Michael C. Jensen and William H. Meckling(1976), “Theory of the Firm: Managerial Behavior, Agency Costs and Ownership Structure,”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3, pp.305-360.
36. Rajiv D. Banker, Masako N. Darrough Rong Huang, Jose M. Plehn-Dujowich(2013), “The Relation between CEO Compensation and Past Performance,” The Accounting Review, 88 (1), pp.1-30.
37. Rajiv D. Banker and Srikant M. Datar(1989), “Sensitivity, Precision, and Linear Aggregation of Signals for Performance Evaluation,”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27(1), pp. 21-39.
38. Robert Gibbons and Kevin J. Murphy(1990), “Relative Performance Evaluation for Chief Executive Officers,”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43(3), pp.30-51.
39. Richard G. Sloan(1993), “Accounting Earnings and Top Executive Compensation,”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16, pp.55-100.

• 저자 이미주는 현재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투입산출팀 과장으로 재직중이다.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경영학석사를 취득하였으며,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박사를 취득하였다. 2002~2004년에는 삼일회계법인에서 공인회계사로 감사업무를 담당하였고, 2005년부터는 한국은행에서 일하고 있다. 주요연구분야는 은행회계, 보상, 규제 및 제도의 영향 등이다.

• 저자 유해양은 현재 SL (YANTAI) AUTO LIGHTTING CO., LTD. 영업팀 사원으로 재직중이다. 2015년 중국 연변대학교 관리학 학사학위를 취득하였고 2019년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회계학을 전공하고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석사과정을 끝마친 후 SL회사에서 일하고 있다.

• 저자 황인태는 현재 중앙대학교에 재직 중이며, 한국공인회계사회 위탁감리위원장과 사학진흥재단 사학기관 회계감리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회계학회 회계학연구 편집위원장과 회장을 역임하였다.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에서 학사와 석사 취득 후,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학졸업 후 삼일회계법인과 산동회계법인에서 근무하였으며, 2001년 2월부터 2005년 2월까지 4년간 금융감독원 전문심의위원으로 일했다. 현재 S-OIL과 현대캐피털㈜의 사외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지난 30년간 Australian Accounting Review, 회계학연구, 그리고 경영학연구를 비롯한 다수의 저널에 논문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