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 Article ]
korean management review - Vol. 46, No. 2, pp.595-622
ISSN: 1226-1874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7
Received 19 Jan 2017 Accepted 27 Feb 2017
DOI: https://doi.org/10.17287/kmr.2017.46.2.595

프라이버시 염려에 대한 메타분석: 국내 문헌을 대상으로

김상희* ; 김종기**
*(주저자) 부산대학교 경영연구소 박사후연구원 ksh@pusan.ac.kr
**(교신저자)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jkkim1@pusan.ac.kr
A Meta-Analysis on Privacy Concern in Korean Research
Sanghee Kim* ; Jongki Kim**
*Post-Doc Research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First Author
**Professor,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초록

국내 프라이버시 연구는 최근 들어 양적으로는 증가하고 있지만 질적으로는 아직 미비한 수준이다. 그동안 국내에서 수행된 프라이버시 연구를 수집하여 지금까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파악해보고 향후 연구에서는 어떠한 방향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지 논의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라이버시 연구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사용되어온 프라이버시 염려 구성개념을 중심으로 국내문헌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라이버시 염려의 측정모델을 기준으로 연구를 통합하였으며, 프라이버시 염려와 다른 요인과의 관계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프라이버시 염려의 선행요인은 국외문헌에서처럼 다양하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크게 개인적 특성, 상대방 주체의 특성, 사회적 특성, 정보적 특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버시 염려 구성개념은 대부분 단일차원으로 측정되어 왔으며, 다차원 관점의 연구는 주로 CFIP와 IUIPC 모델에 의해 측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지날수록 다차원 측정모델을 적용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명확한 이해없이 무분별하게 측정되고 있는 경우도 다수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프라이버시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국내 프라이버시 연구가 발전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Korean research on privacy has lately been increasing in quantity but are still inadequate in quality. Hence it is necessary to collect all the Korean research on privacy carried out up till now in order to identify how they have been conducted and discuss the direction of the future researc to be performed. Accordingly, this study collected Korean literature on the privacy concern construct that has been the core concept and carried out meta-analysis. In this study integrated based on the measuring model of privacy concer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privacy concern and other factors was thoroughly examined. We searched major social science database in order to conduct an integrated research on privacy concern and finally, this study includes a total of 49 research pap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antecedents of privacy concern did not appear as diversely as written in foreign literature but could be largely classified as personal characteristic, the other party’s characteristic, social characteristic and informational characteristic. Second, although the foreign literature showed there have been active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 and trust, the most Korean literature showed privacy concern as an antecedent of trust, indicating they are not well aware of current developments. Moreover, the foreign literature used the most privacy risk as the determinant of privacy concern whereas the domestic literature showed the exactly opposite result. Third, the privacy concern construct has mostly been measured with uni-dimensional concept and the research with multi-dimensional concept has been mainly measured by CFIP and IUIPC model. As the time passes, the studies measuring according to their original purposes with the multi-dimensional measuring model are on a rise but there still are many studies measuring thoughtlessly without clear understand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the development of domestic privacy research in future by providing a general trend of Korean privacy research.

Keywords:

Privacy Concern, CFIP, IUIPC, Privacy Index, Meta-analysis

키워드:

프라이버시 염려, CFIP, IUIPC, 프라이버시 인덱스, 메타분석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6학년도 부산대학교 박사후연수과정 지원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 강문영·지영수·강학래(2016), “소셜 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네이티브 광고의 사용 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광고학연구, 27(2), 7-28.
  • 곽수환·류성열·이윤희(2010),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프라이버시 염려, 자아불일치 및 공동체 의식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8), 360-369.
  • 기소진·이수영(2013), “프라이버시 염려와 자기효능감에 따른 SNS 이용자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7(1), 81-110.
  • 김민경·최보름(2016), “사물인터넷에서 개인정보 보호옵션에 따른 지각된 개인화와 프라이버시 염려: 헬스밴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320-325.
  • 김상현·박현선(2012), “위치기반서비스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프라이버시 염려감소 선행요인, 신뢰 그리고 개인혁신성의 조절효과,” 정보시스템연구, 21(2), 73-96.
  • 김상현·박현선(2015), “SNS에서의 사용자 피로감의 선행 및 결과 요인과 습관의 조절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14(4), 137-157.
  • 김연종·안병혁(2016), “프라이버시 패러독스 현상이 SNS사용자의 개인정보 제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253-262.
  • 김용희·최병무·최정일(2015), “IoT 서비스의 성공적 수용에 관한 연구: iBeacon과 Nearby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14(1), 217-236.
  • 김종기·김상희(2014), “프라이버시 염려와 정보제공행동 간의 프라이버시 역설에 관한 연구: 프라이버시 계산 이론을 중심으로,”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3(3), 139-152.
  • 김준우·박천웅·장성호·박수현(2014),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과 침해 경험이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315-324.
  • 김준우·박수현·이건희·곽현호(2016), “스마트 워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 혁신성의 조절효과,”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81-88.
  • 김진성·김종기(2015),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정보 프라이버시 보호반응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8(8), 1959-1984.
  • 김혜영·장예빛·박현아·유승호(2011), “스마트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이용에 따른 프라이버시 염려에 관한 연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150-1152.
  • 나은영(2013), “트위터 이용자의 온라인 자기노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한국언론학보, 57(4), 124-148.
  • 민병권·김이태(2006), “온라인 쇼핑에서 프라이버시 염려의 원인변수와 결과변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6(11), 25-37.
  • 박남수·이현주·천혜선(2014), “페이스북 정보공개 범위 수준과 프라이버시 보호전략,”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88, 78-114.
  • 박선화·김광용(2012),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지속사용의도 및 관계채널확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11(2), 319-337.
  • 박천웅·김준우(2015), “융복합 시대의 정보 프라이버시와 신뢰 모델에 대한 실증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4), 219-225.
  • 박천웅·김준우(2016), “사물인터넷 시대의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에 대한 실증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2), 65-72.
  • 박천웅·김준우·권혁준(2016), “빅데이터 시대의 정보 프라이버시 위험과 정책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1(1), 131-145.
  • 박철·전종근·이태민(2015), “모바일 쇼핑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고객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 중국, 미국, 일본 4개국 비교,” 국제경영연구, 26(2), 99-128.
  • 박현선·김상현(2014), “SNS 피로감 요인이 SNS 중단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서비스 몰입의 조절효과,” 경영경제, 47(2), 1-24.
  • 백진현(2008), “제품유형에 따른 고객의 온라인 쇼핑몰 수용 정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영정보연구, 26, 153-180.
  • 신동희·김용문(2015), “국내 사이버 검열이 SNS 이용자들의 사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32(3), 171-215.
  • 신미향(2014), “스마트폰 기반 쇼핑몰에 대한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적 혁신성이 유용성과 사용편이성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8), 197-208.
  • 안수미·장재영·김지동·김범수(2014), “SNS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ormation Systems Review, 16(2), 1-23.
  • 엄명용·이문기·김태웅(2015), “인터넷 사용자의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와 정보보호 활동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1), 69-79.
  • 염준호·김선경(2016), “정부웹3.0서비스의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9(1), 139-163.
  • 유일·신정신·이경근·최혁라(2008), “프라이버시 염려 영향요인이 인터넷 이용자의 신뢰와 온라인 거래의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5(4), 37-59.
  • 윤일한·권순동(2016), “라이프로그 이용이 기술 만족도와 잊혀질 권리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6(3), 837-852.
  • 이기호·정영철·한경석·송태민(2014), “개인의료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3(6), 197-208.
  • 이동만·장성희(2014), “위치기반서비스에서 프라이버시 염려와 보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혁신성의 조절효과 검증,”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4(4), 1-22.
  • 이미나·심재웅(2009), “성별에 따른 온라인 프라이버시 염려와 프라이버시 보호전략 사용의 차이에 관한 연구,” 미디어,젠더&문화, 12, 165-191.
  • 이미나·이승아·최인혜(2014), “페이스북 이용자의 개인정보 공개와 결정 요인,”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5(2), 73-85.
  • 이성준(2014), “SNS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관여도의 역할에 대한 고찰 – 페이스북 뉴스피드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9), 188-202.
  • 이성준·김용원·이봉규(2011), “마이크로 블로그 사용자의 자기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2(5), 127-136.
  • 이애리·안효영(2016), “핀테크 사용에 대한 정보프라이버시 염려와 이용자 저항에 대한 연구,” 정보보호학회논문지, 26(1), 209-226.
  • 이재신·조희창(2007), “사회수준과 개인수준의 온라인 위험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1(6), 457-491.
  • 이재신·연보영(2008), “미니홈피에서 나타나는 대학생들의 자기노출 및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2(3), 98-121.
  • 이주영·강현정(2015), “프라이버시 염려가 SNS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도의 매개 및 지각된 유용성의 조절효과,” 지식경영연구, 16(4), 47-67.
  • 이준기·최희재·최선아(2007), “서비스의 유용성과 프라이버시 염려도가 개인화 된 서비스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2(4), 37-51.
  • 이환수·임동원·조항정(2013), “빅데이터 시대의 개인정보 과잉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 지능정보연구, 19(1), 125-139.
  • 임병하·강동원(2014), “폐쇄형 SNS에서 프라이버시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밴드 사용자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16(3), 191-214.
  • 장성호·이기동(2014),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프라이버시 위험이 사용자저항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15(3), 323-338.
  • 장성희(2014), “위치기반서비스에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9(10), 175-184.
  • 장초·만리리·민대환·임성택(2012), “인터넷 사용자의 개인정보보호 행동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지, 11(1), 93-107.
  • 전윤나·김범수·조한준(2009), “정보프라이버시 침해에 따른 정보주체의 대응 행동 결정요인,”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457-463.
  • 정철호·남수현(2011), “SNS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염려도와 수용후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경영정보연구, 30(3), 85-105.
  • 최혁라·신정신(2007), “온라인 거래에서 프라이버시 염려의 선행요인과 프라이버시 염려, 신뢰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16(3), 21-44.
  • Anderson, C. L., and R. Agarwal(2011), “The Digitization of Healthcare: Boundary Risks, Emotion, and Consumer Willingness to Disclos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2(3), 469-490. [https://doi.org/10.1287/isre.1100.0335]
  • Bansal, G., F. Zahedi, and D. Gefen(2010), “The Impact of Personal Dispositions on Information Sensitivity, Privacy Concern and Trust in Disclosing Health Information Online,” Decision Support Systems, 49(2), 138-150. [https://doi.org/10.1016/j.dss.2010.01.010]
  • Belanger, F., J. S. Hiller, and W. J. Smith(2002), “Trustworthiness in Electronic Commerce: The Role of Privacy, Security, and Site Attributes,” 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11(3-4), 245-270. [https://doi.org/10.1016/S0963-8687(02)00018-5]
  • Buchanan, T., C. Paine, A. N. Joinson, and U. Reips(2007), “Development of Measures of Online Privacy Concern and Protection for Use on the Internet,”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8(2), 157-165. [https://doi.org/10.1002/asi.20459]
  • Chellappa, R. K.(2008), “Consumers’ Trust in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s: The Role of Perceived Privacy and Perceived Security,” Working paper, Emory University, Atlanta, GA.
  • Cho, H., M. Rivera-Sánchez, and S. S. Lim(2009), “A Multinational Study on Online Privacy: Global Concerns and Local Responses,” New Media Society, 11, 395-416. [https://doi.org/10.1177/1461444808101618]
  • Culnan, M. J., and P. K. Armstrong(1999),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Procedural Fairness, and Impersonal Trust: An Empirical Investigation,” Organization Science, 10, 104-115. [https://doi.org/10.1287/orsc.10.1.104]
  • Dinev, T., and P. Hart(2004), “Internet Privacy Concerns and Their Antecedents—Measurement Validity and a Regression Model,” Behavior and Information Technology, 23(6), 413-422. [https://doi.org/10.1080/01449290410001715723]
  • Dinev, T., and P. Hart(2005-6), “Internet Privacy Concerns and Social Awareness as Determinants of Intention to Transact,”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10(2), 7-29. [https://doi.org/10.2753/JEC1086-4415100201]
  • Dinev, T., and P. Hart(2006), “An Extended Privacy Calculus Model for E-Commerce Transaction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7(1), 61-80. [https://doi.org/10.1287/isre.1060.0080]
  • Harris Interactive(2003), Most People Are ‘Privacy Pragmatists’ Who, While Concerned about Privacy, Will Sometimes Trade It Off for Other Benefits.
  • Korzaan, M. L., and K. T. Boswell(2008),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Traits a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n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Computer Information Systems, 48(4), 15-24.
  • Kumar, N., K. Mohan, and R. Holowczak(2008), “Locking the Door but Leaving the Computer Vulnerable: Factors Inhibiting Home Users' Adoption of Software Firewalls,” Decision Support Systems, 46(1), 254–264. [https://doi.org/10.1016/j.dss.2008.06.010]
  • Li, Y.(2011), “Empirical Studies on Onlin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Literature Review and an Integrative Framework,”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28, 453-496. [https://doi.org/10.17705/1CAIS.02828]
  • Li, Y.(2012), “Theories in Online Information Privacy Research: A Critical Review and an Integrated Framework,” Decision Supports Systems, 54, 471-481. [https://doi.org/10.1016/j.dss.2012.06.010]
  • Liao, C., C. Liu, and K. Chen(2011), “Examining the Impact of Privacy, Trust and Risk Perceptions beyond Monetary Transactions: An Integrated Model,”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and Applications, 10, 702-715. [https://doi.org/10.1016/j.elerap.2011.07.003]
  • Liu, C., J. T. Marchewka, J. Lu, and C. Yu(2005), “Beyond Concern-A Privacy-Trust-Behavioral Intention Model of Electronic Commerce,” Information and Management, 42(2), 289-304. [https://doi.org/10.1016/j.im.2004.01.003]
  • Malhotra, N. K., S. S. Kim, and J. Agarwal(2004), “Internet Users’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IUIPC): The Construct, the Scale, and a Causal Mode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5(4), 336-355. [https://doi.org/10.1287/isre.1040.0032]
  • Park, Y. J.(2011), “Digital Literacy and Privacy Behavior Online,” Communication Research, 40(2), 215-236. [https://doi.org/10.1177/0093650211418338]
  • Pavlou, P., H. Liang, and Y. Xue(2007), “Understanding and Mitigating Uncertainty in Online Exchange Relationships: A Principle–Agent Perspective,” MIS Quarterly, 31(1), 105-136. [https://doi.org/10.2307/25148783]
  • Pavlou, P. A.(2011), “State of the Information Privacy Literature: Where Are We Now and Where Should We Go?” MIS Quarterly, 35(4), 977-988. [https://doi.org/10.2307/41409969]
  • Phelps, J. E., G. D’Souza, and G. J. Nowak(2001),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Consumer Privacy Concerns: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15(4), 2-17. [https://doi.org/10.1002/dir.1019]
  • Singh, J.(1990), “A Typology of Consumer Dissatisfaction Response Styles,” Journal of Retailing, 66(1), 57-99.
  • Smith, H. J., S. J. Milberg, and S. J. Burke(1996), “Information Privacy Measuring Individuals’ Concerns about Organizational Practices,” MIS Quarterly, 20(2), 167-196. [https://doi.org/10.2307/249477]
  • Smith, H. J., T. Dinev, and H. Xu(2011), “Information Privacy Research: An Interdisciplinary Review,” MIS Quarterly, 35(4), 989-1015. [https://doi.org/10.2307/41409970]
  • Son, J. Y., and S. S. Kim(2008), “Internet Users’ Information Privacy-protective Responses: A Taxonomy and a Nomological Model,” MIS Quarterly, 32(3), 503-529. [https://doi.org/10.2307/25148854]
  • Stone, E. F., D. G. Gardner, H. G. Gueutal, and S. McClure(1983), “A Field Experiment Comparing Information-Privacy Values, Beliefs, and Attitudes across Several Types of Organiz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8(3), 459-468. [https://doi.org/10.1037/0021-9010.68.3.459]
  • Stewart, K. A., and A. H. Segars(2002),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Concern for Information Privacy Instrument,”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3(1), 36-49. [https://doi.org/10.1287/isre.13.1.36.97]
  • Taylor, D. G., D. F. Davis, and R. Jillapalli(2009), “Privacy Concern and Online Personaliza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formation Control and Compensation,”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9, 203-223. [https://doi.org/10.1007/s10660-009-9036-2]
  • Van Slyke, C., J. T. Shim, R. Johnson, and K. Jiang(2006), “Concerns for Information Privacy and Online Consumer Purchasing,”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7(6), 415-444. [https://doi.org/10.17705/1jais.00092]
  • Wallace, W. I.(1992), “Metatheory, Conceptual Standardization, and the Future of Sociology”, in G. Ritzer (Ed.), Metatheorizing, New York, Sage, 53-68.
  • Westin, A. F.(1991), Harris-Equifax Consumer Privacy Survey 1991, Equifax, 1991.
  • Wu, K., S. Y. Huang, D. C. Yem, and I. Popova (2012), “The Effect of Online Privacy Policy on Consumer Privacy Concern and Trus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 889-897. [https://doi.org/10.1016/j.chb.2011.12.008]
  • Xu, H., H. Teo, B. C. Y. Tan, and R. Agarwal(2012), “Effects of Individual Self-Protection, Industry Self-Regulation, and Government Regulation on Privacy Concerns: A Study of Location-Based Service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3(4), 1342-1363. [https://doi.org/10.1287/isre.1120.0416]
  • Yang, H.(2012), “Young American Consumers’ Prior Negative Experience of Online Disclosure, Online Privacy Concerns, and Privacy Protection Behavioral intent,” Journal of Consumer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 Complaining, 25, 79-202.
  • Zhou, T.(2011), “The Impact of Privacy Concern on User Adoption of Location-Based Services,”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111(2), 212-226. [https://doi.org/10.1108/02635571111115146]

• 저자 김상희는 현재 부산대학교 경영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일반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와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연구분야는 프라이버시, 정보보안, 행동경제학 등이다.

• 저자 김종기는 현재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경영정보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부산대학교 경영학과에서 학사를 마쳤으며, 미국 Arkansas State University에서 경영학 석사학위, Mississippi State University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연구분야는 정보보안관리, 프라이버시, 전자상거래, 기술경영, 행동경제학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