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 Article ]
korean management review - Vol. 45, No. 3, pp.901-924
ISSN: 1226-1874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6
Received 05 Jan 2016 Accepted 21 Feb 2016
DOI: https://doi.org/10.17287/kmr.2016.45.3.901

박영진가의 19세기 복식부기 장부 회계처리 방법의 진화

허성관*
*(주저자)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전 행정자치부장관 skhuh2003@hanmail.net
On the Evolution of Accounting Methods in the 19th Century Korean Double-Entry Bookkeeping Records of the Park Youngjin Family
Sungkwan Huh*
*Research fellow of the Hangaram Institute for History and Culture Former minister of the Ministry of Interior, First Author

초록

등록문화재 587호인 ‘개성상인 복식부기 장부(박영진가 장부)’는 Jun, Lewis and and Huh(2013)와 허성관(2015)에 의해서 복식부기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그동안 개성상인의사개송도치부 장부가 복식부기인지 여부에 관한 논의는 종결되었다. 본 연구는 허성관(2015)이 분석한 이 장부의 1894년 기록부터 완전한 장부가 존재하는 1899 회계연도까지 회계처리방법의 진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분개의 기본 형식과 회계처리 절차에 본질적인 변화가 없었다. 회계처리에 특수성이 존재하지만 거래의 이중성과 대차평균의 원칙이 준수된 복식부기였다. 그러나 잔액을 이월하고 계정을 폐쇄하는 분개에 현금의 입출금이 없는데도 상(上)과 하(下)로 표시하기 시작하였다. 채무연장 거래도 명시적으로 분개하기 시작하였다. 금액이 큰 중요한 계정에만 이 분개를 실시하여 일종의 점검 기회로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장기간 거래가 없는 자산 계정의 잔액을 오늘날의 대손처럼 처리했다. 일반관리비로 전도한 금액을 회계연도 말에 정산할 때 기업실체의 비용과 소유자 지분의 인출을 구분하는 형태로 처리방법이 진화되었다. 회계짐작초는 성격이 명확하지 않았다가 1899 회계연도에 삼포경영과 금융업의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로 정착되었다. 상품 매매업의 이익은 대차대조표인 주회계에 독립계정으로 보고되었다.

회계처리 방법에 대해 서양부기의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박영진가 장부는 우리 고유의 복식부기로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음이 명백하다. 박영진가 장부는 오늘날의 재무제표로 쉽게 전환할 수 있는 검증 가능한(verifiable) 복식부기이다.

1897 회계연도부터 주업종이 된 삼포(蔘圃) 경영에서는 삼포가 처분될 때까지 지출한 금액을 자산으로 인식하였다. 삼포 경영 기간 동안 투자와 수익에 대해서는 자본비용을 계산하여 가산하였다. 종삼을 내부의 다른 삼포로 이식하는 경우에는 사내 이전가격으로 시장가격을 적용하였는데 이는 사내이전가격에 관한 세계 최초의 증거이다. 삼포 경영은 합작 사업이었다. 삼포에서 실현된 이익은 사업 참가자에게 균등하게 배분되었다. 이러한 경영관행은 자본, 기술, 경영 전문성의 가치를 동일하게 평가한 것이다. 우리의 경제·경영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Abstract

The recently discovered Gaeseong merchant’s bookkeeping book(Park's record), Korean Listed Cultural Heritage No. 587, was confirmed to be an example of double-entry bookkeeping by Jun, Lewis, and Huh(2013) and Huh(2015). This result settled the dispute of whether or not the traditional Korean accounting of the Sagae Songdo Chibubeob is double-entry bookkeeping. This paper, an extension of Huh(2015), examines the evolution of accounting methods of Park's record from accounting year 1894 to 1899 with complete data.

The format of its basic journal entries, as analyzed in Huh(2015), did not change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Although there were no cash payments or receipts indicated, the expressions sang(上) and ha(下) were used in journal entries to carry forward balances or to close accounts. Extension of maturity in financing was journalized explicitly. These entries were made only in connection with transactions of large amount, and appears to be utilized as a step to check the progress of major transactions

Compared to Huh(2015),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procedure for preparing financial statements during the period. Specific rearrangements of accounts were observed. The balances of asset accounts without transactions for several accounting periods were closed and treated as if they were bad debt expenses. Advance payments to the owner were separated into owner’s withdrawal and general administrative expense to be adjusted at the end of the accounting year. The hoegae jimjagcho, a combined report of income and retained earnings in 1894, evolved into the statement of retained earnings for the financial and ginseng field businesses in 1899. Meanwhile, net incomes from merchandising were reported directly on the juhoegae, the balance sheet.

There was no indication that Park's record had been influenced by western double-entry bookkeeping. It is a form of double-entry bookkeeping that had been used consistently by the Gaeseong merchant without western influence, and can be easily translated into modern financial statements.

In accounting for the management of ginseng fields which were the major business of the Park family from 1897, payments for the ginseng fields were recognized as investments and reported on the juhoegae as assets until the fields were disposed of. For the investments in and revenues from the ginseng fields, cost of capital was computed and added to the debit and credit of each field account, respectively. Market price was used as the internal transfer price when nursery ginseng was transplanted within the proprietorship. Ginseng fields were managed by partnerships and net incomes from fields were distributed equally to partners. These practices of ginseng field management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Korean history of management and economics although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Keywords:

Korean traditional accounting, Sagae Songdo Chibubeob, Double-entry bookkeeping record of Park Youngjin family

키워드:

전통회계, 사개송도치부법, 박영진가 복식부기 장부

Acknowledgments

본 연구는 한국학중앙연구소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았습니다.

References

  • 김기호(1986), 송도치부법사개문서의 개요. 동광인쇄소.
  • 세종대왕기념사업회(1980), 국역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윤근호(1984), 한국회계사연구. 한국연구원.
  • 전성호(2011), “개성 시변제도 연구 - 개성상인 회계장부 신용거래 분석(1887-1900),” 대동문화연구 75집 151-200.
  • 정약용저 다산연구회 역주(1979) 목민심서. 창작과비평사.
  • 한국인삼사편찬위원회(2002), 한국인삼사.
  • 허성관(2011) “한국 전통회계 기록의 책임성과 진실성의 역사적 기원,” 전성호(편), 한국전통회계와 내부통제시스템 II, 민속원.
  • 허성관((2014), “한국 전통회계 연구의 성과와 과제,” 회계저널, 23(1), 61-89.
  • 허성관(2015), “박영진가家의 19세기 사개송도치부 장부 회계순환 구조,” 회계저널, 24(2), 85-116.
  • 현병주(1916), 실용자수 송도사개치부법 전. 덕흥서림.
  • Ray H. Garrison, Eric W. Noreen, and Peter C. Brewer(2010), Managerial Accounting. 13th edition. McGraw-Hill.
  • Jun, Seong-Ho, James E. Lewis, and Sung Kwan Huh(2013) “Korean Double-entry Merchant Accounts from Kaesong City(1786-1892)”.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13(2), 105-147. [https://doi.org/10.21866/esjeas.2013.13.2.001]
  • Johnson, H. Thomas and Robert S. Kaplan(1987), Relevance Lost - The Rise and Fall of Management Accounting.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Boston. Massachusetts.

·저자 허성관은 동아대학교 상학과를 졸업하고 뉴욕주립대(Buffalo)에서 경영학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뉴욕시립대(Baruch)와 동아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회계학연구 경영학연구 등에 여러 논문을 밭표했다, 해양수산부 행정자치부 장관과 광주과학기술원 총장을 지냈다. 정년퇴임 후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우리 전통회계인 사개송도치부법 연구에 천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