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 Article ]
korean management review - Vol. 45, No. 2, pp.433-463
ISSN: 1226-1874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16
Received 30 Sep 2015 Accepted 20 Jan 2016
DOI: https://doi.org/10.17287/kmr.2016.45.2.433

자산부채 평가가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허진숙* ; 심준용** ; 권수영***
*(주저자)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박사과정 baskin77@naver.com
**(교신저자)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박사과정 simjunyong@korea.ac.kr
***(공동저자)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sykwon@korea.ac.kr
How does the Valuation of Assets and Liabilities Impact on the Value-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Jin Sook Heo* ; Jun Yong Shim** ; Soo Young Kwon***
*Ph. D Student,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First Author baskin77@naver.com
**Ph. D Student,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Corresponding Author simjunyong@korea.ac.kr
***Professor, Korea University Business School, Co-Author sykwon@korea.ac.kr

초록

본 연구는 재무상태표에서 자산부채 항목의 평가정도가 순자산과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자산부채 항목에 대한 측정기준으로 역사적 원가 대신 현행원가나 실현가능(이행)가치와 같은 후속적 평가가 반영된 지표를 많이 사용한다면,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실질을 보다 충실하게 보여줄 수 있다. 본 논문은 자산 부채 측정에 실질가치를 사용하는 비중이 재무상태표의 가치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자산부채 평가정도라는 새로운 대용치를 산출하였다. 자산부채 평가정도는 평가를 하지 않았을 경우의 순자산 금액 대비 평가로 발생한 금액의 비중으로, 시계열 분석을 통해 기업별로 자산부채에 대한 평가의 비중이 얼마나 증가하였는지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자산부채 평가정도는 표본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자산부채 평가정도가 크게 증가한 기업일수록 표본 기간 동안 재무상태표의 가치관련성은 증가하고 손익계산서의 가치관련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무상태표 측정에 있어 역사적 원가보다는 후속적 평가가 반영된 측정 속성을 적용하는 정도가 확대되었으며, 자산부채에 대한 평가정도의 확대에 따라 순자산과 회계이익의 가치관련성이 차별적인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무상태표에서 자산부채 평가정도가 기업가치를 평가할 때 순자산과 회계이익 중 어느 정보에 투자자가 비중을 더 두는지를 실증적으로 제시했다는 데 공헌점이 있다. 또한 회계기준의 자산부채 평가 기준이 변화함에 따라 재무상태표 정보와 손익계산서 정보의 가치관련성이 달라질 뿐만 아니라 상대적 가치관련성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differs by the extent of valuation of assets and liabilities under the measurement criteria specified in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Financial Reporting. Previous studies about the trend of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reported that the value relevance of net assets (from the statements of financial position) has increased for past decades while the value relevance of net income (from the statements of income) has deteriorated (Collins et al., 1997; Francis and Schipper, 1999; Han, 1998; Jang et al., 2002; Park and Paek, 2013). Most prior studies focus on the decrease in value relevance of net income, but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 increase in value relevance of net assets.

In this study, we posit that the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has better reflected the real economic value of firms since the recognition criterion of assets and liabilities changed from historical cost to current cost, realizable (settlement) value, or present value. We define the sum of allowance for bad debts, accumulated impairment losses, and the absolute value of other comprehensive income as the new measure, DV(degree of valuation of assests and liabilities), to capture the extent of firms’ adopting current cost, realizable (settlement) value, or present value in the recognition of assets and liabiliti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use the sample firms listed in Korean market (KOSPI and KOSDAQ) from 2003 to 2013. In the cross-sectional regression analysis, we find that firms with larger DV show higher value relevance of net assets from the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In the time-series regression analysis, we find that DV has increased since 2003. We also find that the increase in DV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negative) association with the value relevance of net assets(net income).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our hypotheses and indicate that the value relevance of net assets is enhanced by the increase in valuation of assets and liabilities.

This study differs from prior studies focusing on the reason why the value relevance of net income has reduced. Our results suggest that not only non-accounting factors but also accounting factors can influence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Our results also suggest that standard setters should consider the trade off of the value relevance of net assets and accounting income when modifying accounting standards.

Keywords:

Net assets, Valuation, Value relevance, Relative pricing multiples

키워드:

순자산, 평가, 측정, 가치관련성, 상대적 주가배수

References

  • 권기정(2006), “코스닥 기업의 기업규모와 부채비율에 따른 회계이익과 장부가치의 기업가치 관련성 분석,” 세무와 회계저널, 7(2), 141-163.
  • 김희석·조경식(1999), “부채의 대리비용과 기업재무구조,” 경영연구, 14(1), 273-297.
  • 김창수·이현주(2013), “공정가치로 측정한 기타포괄손익항목의 가치관련성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박성진·백원선(2013), “수익비용대응이 회계정보의 증분 가치관련성과 상대적 주가배수에 미치는 영향,” 회계학연구, 38(1), 173-208.
  • 장지인·정혜정·이경주(2002), “회계이익과 장부가액의 상대적 가치관련성에 관한 실증연구,” 대한경영학회지, 34, 513-533.
  • 최은실·문보영·유용근(2013), “영업이익 산정방식에 따른 영업이익 가치관련성 비교,” 회계저널, 22(2), 1-21.
  • 한봉희(1998), “국내자본시장에서 회계이익정보의 유용성 향상 여부에 관한 실증적 연구,” 회계학연구, 23 (1), 1-24.
  • Aboody, D., and Lev, B(1998), “The Value Relevance of Intangibles: The Case of Software Dapitalization,”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36(3), 161-191.
  • Barth. M. E., W. H. Beaver and W. R. Landsman (1998), “Relative Valuation Roles of Equity Book Value and Net Income as a Function of Financial Health,”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25(1), 1-34.
  • Barth, M. E., W. H. Beaver and W. R. Landsman (2001), “The Relevance of the Value Relevance Literature for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 Setting: Another View,”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31(1), 77-104.
  • Burgstahler, D. C., and I. D. Dichev(1997), “Earnings, Adaptation and Equity Value,” The Accounting Review, 72(2), 187-215.
  • Collins, D. W., E. L. Maydew and I. S. Weiss(1997), “Change in the Value-relevance of Earnings and Book Values over the Past Forty Years,”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24 (1), 39-67.
  • Francis, J., and K. Shipper(1999), “Have Financial Statements Lost Their Relevance?,”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37(2), 319-352.
  • Francis, J., R. Lafond, P. Olsson, and K. Shipper (2004), “Cost of Equity and Earnings Attributes,” The Accounting Review, 79(4), 967-1010.
  • Kallapur, S., and Y. S. Kwan(2004), “The Value Relevance and Reliability of Brand Assets Recognized by U.K. Firms,” The Accounting Review, 79(1), 151-172. [https://doi.org/10.2308/accr.2004.79.1.151]
  • K. Khurana and Myung-Sun Kim(2003), “Relative Value Relevance of Historical Cost vs. Fair Value: Evidence from Bank Holding Companies,” Journal of Accounting and Public Policy, 22(1), 19-42.
  • Ohlson, J. A(1995), “Earnings, Book Values, and Dividends in Equity Valuation,” Contemporary Accounting Research, 11(2), 661-687.

·저자 허진숙은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삼정KPMG회계법인에서 공인회계사로 근무하였다. 이후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회계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회계학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다.

·저자 심준용은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생산성본부 및 삼정KPMG회계법인에서 근무하였다. 이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회계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회계학 박사과정에 재학중이다.

·저자 권수영은 현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회계학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St. John Fisher Colledge를 졸업하고 University of Texas Austin MBA 과정과 University of Rochester에서 응용경제학 석사학위를 취득, Washington University 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 학위 취득 이후 University of Utah에서 조교수로 근무하였으며 고려대학교 총무처장, 2014년 한국회계학회장을 역임하였다. 주요연구분야는 회계감사와 재무회계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