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 상품의 손실가능성 정보가 투자를 유치하는데 항상 불리한가?: 투자성향과 금융상품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초록
대부분의 국내 금융기관은 금융투자 상품의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투자자를 유지하기 위해 수익가능성에 관한 정보는 적극적으로 제공하지만 손실가능성에 대한 정보는 제외하거나 약화시켜왔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손실가능성을 최소한으로 제공하는 것이 투자유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했다.
이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금융투자 상품정보에 대한 메시지 측면성을 원인변수로, 투자자 반응을 결과변수로 설정하고 이러한 효과를 조절하는 변수로 투자자 성향과 투자상품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투자한 후 손실이 발생했을 경우 투자자들의 투자기관에 대한 태도 변화의 차이를 메시지 측면성에 따라 분석했다.
이러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실험 연구를 진행했다. 메시지 유형과 투자상품 유형을 두가지로 조작(설득메시지: 단면 Vs 양면, 투자상품: 고위험고수익 vs. 저위험저수익)하였고, 투자자 성향을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두가지 유형(수익 추구형 Vs 위험 회피형)으로 구분한 후 결과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첫째, 위험 회피형 투자자에게는 메시지의 측면성이 투자의사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고위험고수익 상품의 경우 투자자의 투자의사는 손실가능성에 대한 정보의 제공 여부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투자 후 투자결과가 확인되는 상황에서 투자기관이 수익가능성에 대한 정보만 제공했을 경우 투자자의 투자기관 평가는 부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투자기관이 투자 상품을 안내할 때 손실가능성 정보를 제한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투자유치에 항상 유리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만일 투자 후 손실을 접했을 경우를 감안하면 손실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투자자 관리에 더 유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의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함께 미래연구방향을 제시했다.
Abstract
Most financial institutions has actively provided an information about the expected profits of financial products to attract investments However, they were very passive or reluctant in providing an information about the potential losses. Under these situations, this study investigate how an information about potential loss affect investors’ purchase decis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pecified message sidedness as antecedent, and attitude toward financial institutions and investment intention as consequences and investment product type and investors’ propensity as the moderating variables. Further we examined the difference in investors’ changing attitude towards financial institutions under loss results.
To verify these models, we conducted experimental study. We developed 2(persuasive message type: one-sided or two-sided) × 2(risk tolerance: high or low) × 2(type of of financial investment product: high risk-high return or low risk-low return) between-subject designs.
We found three important results. First, the message sidedness did not give any impacts on the loss-aversion investors’ investment intentions. Second, investors’ investment intention remained the same across the message sidedness in case of high risk-high return products. Finally, we found that investors’ attitude toward the financial institutions after observing financial losses changed negatively when only information about an expected profits were provid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otential loss information of financial investment products does not operate to disadvantage in attracting investments depending on product type and investors’ investment propensity. Finally,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vided future research direction.
Keywords:
Message Sidedness, Investor Propensity, Investment Product Type키워드:
설득메시지 측면성, 투자자 성향, 금융투자 상품 특성References
- 김영두, 하영원(2011), “조절초점과 기대수익-위험 정보 구성이 금융투자상품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22(4), 103-134.
- 민동원(2012), “조절 초점과 자아해석, 그리고 정보처리 수월성이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기내식 메시지를 중심으로,” 고객만족경영연구, 14(3), 1-20.
- 박정식, 박종원, 조재호(2003), 현대재무관리.
- 박찬, 유창조(2006), “온라인에서의 구전커뮤니케이션이 상표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17(1), 73-93.
- 오혜영(2014), “조절초점과 손실회피성향에 대한 처리 유창성이 금융상품 가입의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금융소비자연구, 4(2),63-93.
- 이병관, 이유나(2009), “손실 회피 상황에서 자기 조절초점이선택에 미치는 효과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9(1), 390-391.
- 이성수, 김재동, 성영신, 유창조,(1999), “증권사에서 투자자와 투자상담사의 관계 발전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14(3), 45-68.
- 이재은(2015), “주식투자자 유형과 투자위험관리행동의 관계,” 상품학연구, 33, 91-100.
- 장영광(2009), 증권투자론, 신영사.
- 차경욱(2014), “위험감수성향 집단 구분과 금융자산 보유특성에 관한 연구,”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0(1), 133-155.
- 차경욱, 정다은(2013), “개인투자자의 손실회피성향, 위험태도와 가계금융자산 보유 특성,” Financial Planning Review, 6(3), 119-141.
- 천성용(2010), “한국 금융회사 마케팅 현황에 대한 탐색 연구,” Asia Marketing Journal, 12(2), 111-133.
- 최운열, 박영석(2005), 투자론-이론과 실무, 서울, 박영사.
- 하영원, 김영두(2011), “조절초점이 금융소비자의 투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0(3), 605-631.
- 한민희, 신상근, 안성아(2000), “금융고객의 위험태도와 위험대응 구매행동,” 경영학연구, 29(3), 337-352.
- Chatterjee, P.(2001), “Online Reviews: Do Consumers Use Them?”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8, 129-133.
- Crowe, E., and E. T. Higgins(1997), “Regulatory Focus and Strategic Inclinations: Promotion and Prevention in Decision-Making,”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69(2), 117-132. [https://doi.org/10.1006/obhd.1996.2675]
- Eisend, M.(2006), “Two-sided Advertising: A Meta-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23(2), 187-198. [https://doi.org/10.1016/j.ijresmar.2005.11.001]
- Fiske, S. T., and S. E. Taylor(1984), Social Cognition, Addison-Wesley Publishing.
- Golden, L. L., and M. I. Alpert(1987),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One-and Two-sided Communication for Contrasting Products,” Journal of Advertising, 16(1), 18-68. [https://doi.org/10.1080/00913367.1987.10673056]
- Grable, J. E., and R. H. Lytton(1999), “Assessing Financial Risk Tolerance: Do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Attitudinal Factors Work,” Family Relations and Human Development/Family Economics and Resource Management Biennial, 3 , 80-88.
- Grable, J., and Lytton, R. H.(1999), “Financial risk tolerance revisited: the development of a risk assessment instrument,” Financial Services Review, 8(3), 163-181. [https://doi.org/10.1016/S1057-0810(99)00041-4]
- Higgins, E. T.(1998), “Promotion and prevention: Regulatory Focus as a Motivational Principle,”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30, pp. 1-46). [https://doi.org/10.1016/S0065-2601(08)60381-0]
- Kahneman, D., and A. Tversky.(1979), “Prospect Theory: An Analysis of Decision under Risk,” Econometrics, 47, 263-291. [https://doi.org/10.2307/1914185]
- Kamins, M. A., and H. Assael(1987), “Two-sided versus One-sided Appeals: A Cognitive Perspective on Argumentation, Source Derogation, and the Effect of Disconfirming Trial on Belief Chang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9-39. [https://doi.org/10.1177/002224378702400103]
- Kelley, H. H. (1973), “The Processes of Causal Attribution,” American Psychologist, 28(2), 107. [https://doi.org/10.1037/h0034225]
- Kunda, Z.(1990), “The Case for Motivated Reasoning,” Psychological Bulletin, 108(3), 480. [https://doi.org/10.1037/0033-2909.108.3.480]
- Liberman, N., L. C. Idson, C. J. Camacho, and E. T. Higgins(1999), “Promotion and Prevention Choices between Stability and Chan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7(6), 1135. [https://doi.org/10.1037/0022-3514.77.6.1135]
- Mizerski, R. W., L. L. Golden, and J. B. Kernan (1979), “The Attribution Process in Consum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6(2), 123-140. [https://doi.org/10.1086/208756]
- Roszkowski, M. J.(1992), “How to Assess a Client’s Financial Risk Tolerance: the Basics.” Personal financial risk tolerance. PA: The American College, 66-75.
- Swinyard, W. R.(1981), “The Interaction between Comparative Advertising and Copy Claim Vari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75-186.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205]
- Szybillo, G. J., and R. Heslin(1973), “Resistance to Persuasion: Inoculation Theory in a Decision Marke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96-403. [https://doi.org/10.1177/002224377301000407]
- Zhou, R., and M. T. Pham(2004), “Promotion and Prevention across Mental Accounts: When Financial Products Dictate Consumers and Investment Goal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1(1), 125-135. [https://doi.org/10.1086/383429]
• 저자 나영선은 현재 Neuberger Berman 글로벌 투자회사 한국사무소의 투자담당 상무로 재직 중이다. 동국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금융MBA에서 경영학석사를 취득하였으며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과거 JPMorgan자산운용 한국법인에서 국내금융기관 및 리테일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투자업무를 담당하였으며 미래에셋증권에서 해외투자상품 마케팅 및 해외상품 개발 업무를 진행하였다.
• 저자 유창조는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University of Oregon에서 MBA를, University of Arizona에서 Ph. D를 취득하였고, 현재 동국대학교 경영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유창조 교수는 한국광고학회 회장, 한국마케팅학회장, 한국소비자학회장 및 한국경영학회장을 역임한 바 있고 한국소비자학연구 편집위원장 및 경영학연구 편집위원장을 역임한 바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소비자행동, 마케팅전략, 사회공헌활동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