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 Article ]
korean management review - Vol. 47, No. 6, pp.1319-1337
ISSN: 1226-1874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18
Received 24 Mar 2018 Revised 08 Sep 2018 Accepted 11 Sep 2018
DOI: https://doi.org/10.17287/kmr.2018.47.6.1319

20대 중국인의 한류 관련 반응 연구: 2007년과 2017년의 비교

황인석* ; 김도형** ; 김화경***
*(주저자)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hwangis@uos.ac.kr
**(공저자)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혁신연구센터 책임연구원 dhkimphd@sookmyung.ac.kr
***(교신저자) 제주국제대학교 호텔관광학과 교수 agnes1101@hanmail.net
A Study on Korean Wave-Related Responses of Chinese in Their Twenties: Comparison between 2007 and 2017
Insuk Hwang* ; Dohyung Kim** ; Hwakyung Kim***
*Professor,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Seoul, First Author
**Senior Researcher, Center for Education Innovation and Research, Sookmyung Women’s University, Co-Author
***Professor, Department of Hotel & Tourism, Jeju Inter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초록

본 연구는 20대 중국인의 한류 관련 반응을 2007년과 2017년 비교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효과적인 비교를 위해 한류 관련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화사상, 애국심, 새로움 수용도 변수에 대한 연도 간 차이가 우선 점검되었다. 자료는 중국 북경 및 상해에 거주하는 20대 중국인 26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조사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표본의 남녀비율은 4:6, 평균 나이는 2007년 24.8세, 2017년 24.3세이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한류 관련 선호도는 2017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 호감도 및 대부분의 한국 상품 구매의도는 2017년도에 낮게 나타났다. 더불어 중화사상, 새로움 수용도는 2007년과 2017년 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애국심은 2017년도에 더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Korean wave-related responses of Chinese in their twenties, specifically compared their responses in 2007 with those in 2017. For an effective comparison, the differences of their Sinocentrism, patriotism, and acceptances of newness between the two years were first checked independently because they might be antecedents of the response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to-one interview with 260 Chinese in Beijing and Shanghai, China, where the ratio of male to female is 4:6, and the average age is 24.8 years in 2007 and 24.3 years in 2017.

Results showed that most Korean-wave related preferences were higher in 2017 and liking of Korea and purchase intentions for most Korean products were lower in 2017. The difference of Sinocentrism and that of newness acceptance between the years were not found respectively, but the patriotism was lower in 2017.

Keywords:

Korean Wave-Related Responses, Chinese in Their Twenties, Sinocentrism, Patriotism, Acceptance of Newness

키워드:

한류 관련 반응, 20대 중국인, 중화사상, 애국심, 새로움 수용도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8년도 서울시립대학교 연구년교수 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 고정민·이안재·강신겸(2005), 한류 지속과 기업의 활용 방안, 삼성경제연구소.
  • 김상훈·강지윤(2005), “소비자 특성이 추구편익 및 내구재 속성의 중요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혁신성, 대인적 민감도, 소비자 지식을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20(4), 209-226.
  • 김용준(2004), 중국마케팅, 박영사.
  • 김우영(2004), “한국적 가치관의 한류화·세계화 연구,” 대한정치학회보, 12(1), 171-190.
  • 김호순·강동균(2013), “청소년 소비자의 애국심이 수입제품에 대한 평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0(10), 391-406.
  • 남상민(2016), “독일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이 외국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글로벌성 및 브랜드이미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상논총, 34(3), 17-36.
  • 노형진(2013), “중국시장에 있어서 한류효과가 한국제품의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8(5), 157-165.
  • 박세현·정기한(2016), “소비자의 혁신성이 스마트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위험과 가격 민감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9(4), 575-595.
  • 박은주·박신영(2007), “혁신성 유형이 패션쇼핑몰 e-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 박진표·김강식(2015), “제조국, 브랜드이미지, 애국심이 이중국적제품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질서경제저널, 18(4), 169-191.
  • 서철현·양진연(2012), “중국인이 지각하는 한류의 K-POP 속성이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25(4), 1917-1938.
  • 손병우·양은경(2003),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글로벌화 방안: 한류 현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14, 147-171.
  • 신지숙·문용호·천만봉(2016), “한중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와 외국기업의 전략적 CSR 활동,” 대한경영학회지, 29(11), 1733-1756.
  • 신진호(2005), “중국 내 한류에 관한 고찰: 최근의 한중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34, 221-244.
  • 윤태웅·이위나·김여정(2010), “원산지 효과에서의 자민족 중심성향의 조절역할에 관하여,” 광고연구, no. 87, 235-262.
  • 이병관·조은현(2009), “신제품 수용에 미치는 소비자의 혁신성과 조절초점의 효과 연구,” 광고학연구, 20(1), 127-143.
  • 이수형·이재록·이강목(2000), “소비자애국심의 구성요인과 외국제품평가와의 관계,” 무역학회지, 25, 287-316.
  • 이운영(2006), “중국에서의 한류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구매의사에 미친 영향,” 국제경영리뷰, 10(2), 107-136.
  • 이준웅(2003), “한류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중국인의 한국 문화상품 이용이 한국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47(5), 5-35.
  • 이희창·강정희(2013), “국가 정체성과 애국심의 관계: 동서양 5개국 특성 비교,” 한국보훈논총, 12(3), 7-38.
  • 정보희·김한구(2016), “소비자의 지위추구동기가 자국 브랜드 제품선호에 미치는 영향: 애국심 점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마케팅논집, 24(1), 125-144.
  • 정헌수·신지영(2012), “광고반응에 있어 소비자 혁신성의 역할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23(6), 133-160.
  • 정형식(2006), “중국시장에서 소비자의 한류지각이 한국상품 구매 및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17(3), 79-101.
  • 제갈란·박민정(2016), “백화점 및 브랜드 점포속성이 중국인 관광객의 백화점 및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류선호의 매개효과,” 소비자학연구, 27(5), 221-244.
  • 조한혜정(2002), “동/서양 정체성의 해체와 재구성: 글로벌 지각 변동의 징후로 읽는 한류 열풍,” 한국문화인류학, 35(1), 3-41.
  • 최낙환·임아영·모천(2016), “드라마의 주인공 배우, 브랜드, 소비자의 이상자아가 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경영리뷰, 20(1), 175-198.
  • 하정함·김상현·장원호(2016), “중국 내 한국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수출과 한류 확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7), 709-719.
  • 한은경·박승배(2005), “한류 브랜드 자산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68(가을), 229-255.
  • 한충민·구오첸(2017), “소비자 자민족주의 가치와 광고가 브랜드 선택에 미치는 영향,” 국제경영연구, 28(2), 1-28.
  • 한충민·원성빈(2016), “소비자 자민족주의의 국가 간 차이에 관한 실증 연구,” 마케팅연구, 31(1), 85-107.
  • 한충민·진희·이상엽(2011), “한류가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류광고 vs. 국가이미지 효과,” 경영학연구, 40(4), 1055-1074.
  • 한홍석(2005), “한류 현상으로 본 중국에서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 국제지역연구, 9(1), 1-21.
  • 허진(2003), “중국의 한류 현상과 한국 TV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6(1), 496-529.
  • 홍성태·강성균(2007), “한류가 한국산 제품에 대한 평가 및 구매의도에 미친 영향: 일본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12(1), 71-90.
  • 황인석(2009), “중국 내 반한류 집단의 특성과 반한류와 한국 상품 구매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82, 201-225.
  • 황인석·조은성(2008), “한국 드라마 만족도의 중국내 한류 효과: 한국 휴대폰 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Asia Marketing Journal, 9(4), 245-270.
  • Baumgartner, Hans and Jan-Benedict EM. Steenkamp (1996), “Exploratory Consumer Buying Behavior: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13(2), 121-137. [https://doi.org/10.1016/0167-8116(95)00037-2]
  • Holbrook, Morris B. and Robert M. Schindler(1989), “Some Exploratory Findings on the Development of Musical Tast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6(1), 119-124. [https://doi.org/10.1086/209200]
  • Kim, Hwa Kyung, Andrew Eungi Kim, and Daniel Connolly, “Catching up to Hallyu? The Japanese and Chinese Response to South Korea Soft Power,”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47(3), 527-558.
  • Leavitt, C. and J. R. Walton(1975), “Development of a Scale for Innovativenes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 545-554.
  • Mowen, John C. and Michael S. Minor(2002), Consumer Behavior: A Framework, Prentice-Hall.
  • Zajonc, Robert B.(1968), “Attitudinal Effects of Mere Expo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 1-27. [https://doi.org/10.1037/h0025848]

• 저자 황인석은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부 마케팅 교수로 재직 중이다. KAIST 경영공학(과학)과에서 학사, 석사(마케팅 전공), 박사(마케팅 전공)를 취득하였다. 박사 학위 취득 이후에는 건국대학교, 광운대학교에서 조교수 및 부교수로 재직하였다. 주요연구분야는 도시문화마케팅, 감성마케팅, 소비자마케팅 등이다.

• 저자 김도형은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혁신연구센터 책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명지대학교에서 경영학사, 서울시립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마케팅 전공) 및 경영학 박사(마케팅 전공)를 취득하였다. 박사 학위 취득 이후에는 가천대학교 교육과정평가인증원 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주요연구분야는 도시문화마케팅, 대학 교육(경험재)의 경쟁력 강화 등이다.

• 저자 김화경은 현재 제주국제대학교 호텔관광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학사, 연세대학교에서 석사(국제마케팅 전공), 경기대학교에서 박사(관광경영 전공)를 취득하였다. 박사 학위 취득 이후에는 세명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MICE 및 관광산업전략, 소비자마케팅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