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 로보어드바이저 산업에 대한 고찰: 현황과 개선방안
초록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공지능 기술은 의학, 공학, 금융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에 기반한 로보어드바이저의 등장으로 금융시장과 금융산업은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 로보어드바이저는 낮은 수수료와 높은 편리성을 바탕으로 기존의 자산관리서비스 시장에 빠르게 진입하고 있으며, 스타트업과 기존 금융회사 모두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에 큰 관심을 두고 있다. 그러나 국내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의 경우 미국과 유럽시장에서의 성공사례와는 달리, 비대면 일임계약에 대한 제약과 같은 규제와 비효율적인 제도운영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성장이 불투명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로보어드바이저 기업의 현황과 사례를 살펴보고, 로보어드바이저 시장에 대한 개괄적인 비용구조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에 대하여 고찰하고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비용 구조분석은 로보어드바이저 산업이 시장에 먼저 진입한 기업이 우위를 차지하게 되는 비용구조로 되어있다면, 효과적인 정책의 부재는 소수 기업이 시장을 과점하는 상황을 초래하고 장기적인 성장을 저해할 수 있음을 보인다. 현행규제를 검토하고 잠재력 있는 신규 진입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을 강화하되, 기업들 간에 가격의 인하에만 집중하는 과도한 경쟁이 아닌 첨단서비스와 기술혁신에 따른 경쟁체제를 유도해야 한다.
Abstrac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dustries such as medicine, engineering, and finance. For example, with its low fees and high level of convenienc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obo-advisor has quickly come to dominate the traditional asset management service market. Several start-up companies and traditional financial companies are entering the robo-advisor market in Korea. However, in contrast to its great succes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e growth of the domestic robo-advisor market is stagnant owing to environmental and regulatory constraints, such as restrictions on non-face-to-face contracts.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current status and practices of domestic and foreign robo-advisor companies. In addition, based on a comprehensive cost-structure analysis of the robo-advisor market, we suggest ways in which to improve related policies. Although there are many robo-advisor-related business units and start-ups in Korea, current market regulations and inefficient system operation mean that they are not providing marketable services. When a firm with a cost advantage enters the robo-advisor market at the initial stage, the absence of effective government policy can result in an oligopoly of a few companies, thus deterring long-term grow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improve the environment and strengthen the support policy for new entrants with potential. At the same time, we need to induce a competitive system based on technology innovation, rather than on excessive competition that focuses on reducing commission.
Keyword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Financial market, Regulation, Robo-advisor키워드:
규제, 금융시장, 로보어드바이저, 빅데이터, 인공지능Acknowledgments
본 연구에 대하여 유익한 조언과 도움을 주신 김민성 학장님과 박민수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이 논문은 2017년도 산학협동재단의 “학술연구비 지원사업”으로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 강현구·유주선·이성남(2017), 핀테크와 법, 서울, 씨아이알.
- 고윤승(2016), “우리나라 로보어드바이저 도입을 위한 활성화 방안 탐색,” 한국과학예술포럼, 25, 19-33.
- 권용우·정용규·조인수(2017), “O2O 판매촉진을 위한 머신 러닝 기반의 로보어드바이저 시스템의 구현,” 대한전자공학회 하계종합학술대회, 1284-1286.
- 권우영(2016), “로보어드바이저 도입을 둘러싼 쟁점과 금융회사의 과제,”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주간 금융경제동향, 6(2).
- 금융위원회(2018), 핀테크 혁신 활성화 방안, 2018년 3월 보도자료.
- 김범준·엄윤경(2017), “로보-어드바이저 (Robo-Adviser)의 활용과 금융투자자 보호- 미국의규제체계가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법학연구, 17(1), 71-98.
- 김범현·권도균·이용재·김우창(2016), “로보 어드바이저 산업 활성화를 위한 국내 ETF 시장의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5932-5932.
- 김병연(2004), “프라이빗뱅킹(PB)의 개념 정립,” 주간금융동향, 13(27), 43-49.
- 김석영·이선주(2016), “4차 산업혁명과 보험상품 개발,” 보험연구원 KIRI weekly, 406, 11-19.
- 김성동(2012), “주식 투자자의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도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2), 472-482.
- 김장훈(2017), “핀테크 비즈니스 모델의 지속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e-비즈니스연구, 18(1), 159-171.
- 김종현(2015), “핀테크가 국내 금융업에 미치는 영향 및 시사점,” 우리금융경영연구소.
- 김지웅·허준·김장일(2013), “빅데이터의 금융기관 활용 사례,” 전자공학회지, 40(8), 49-54.
- 박나영·정순희(2017), “펀드투자자의 로보어드바이저 (Robo-Advisor)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10(1), 147-171.
- 박병주·최슬기·김득훈·곽진(2017), “국내·외 핀테크 서비스 및 정책 동향 분석,”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34(3), 3-10.
- 박선후(2016), “로보어드바이저에 관한 오해와 진실,” IBK경제연구소.
- 박재석·황병일(2013), “우체국 빅 데이터 활용 전략에 관한 소고,” 우정정보, 94, 27-50.
- 박재연·유재필·신현준(2016A), “로보어드바이저를 이용한 포트폴리오 관리,” 정보화 연구(구 정보기술아키텍쳐연구), 13(3), 467-476.
- 박재연·유재필·신현준(2016B), “기술적 지표와 기계학습을 이용한 KOSPI 주가지수 예측,” 정보화 연구(구 정보기술아키텍쳐연구), 13(2), 331-340.
- 박지영(2015), “자본시장 핀테크 핵심으로 부상하는 로보어드바이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주간기술동향, 1728, 10-21.
- 박지홍(2016), 자산관리업의 로보 어드바이저 열풍,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금융경영브리프, 5(37).
- 박채진·류두진(2018), “국내 인터넷전문은행의 발전 방향,” 경영학연구, 47(3), 549-576.
- 배금일, 이용재, 김지은, 김우창, 김민정, 김장호(2015), “Anatomy of Robo-Advisor: 적용기술의 타당성을 중심으로,” ie 매거진, 22(4), 28-36.
- 백은영·정순희(2011), “자산관리 서비스 주요 잠재 대상 고객에 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Review, 4(3), 37-66.
- 사재훈·이상희·김광용(2016), “한국 로보어드바이저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 IT 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34-237.
- 서민교(2013), “국내 금융기관의 빅 데이터 (Big Data) 활용 사례에 관한 연구,” 전자무역연구, 11(4), 115-134.
- 서보익(2016), “로보-어드바이저가 이끌 자산관리시장의 변화,” 2016년 하반기 산업전망: 증권, 유진투자증권.
- 손영화(2009), “온라인상 割引販賣에 관한 比較法的 考察-약탈적 가격규제를 중심으로,” 동북아법연구, 3(1), 109-138.
- 손위창(2015), “로보어드바이저, WM서비스 대중화에 도전장,” 현대증권 현대 able daily.
- 안수현(2016), “Automated Investment Tool(일명 ‘로보어드바이저’)을 둘러싼 법적 쟁점과 과제,” 상사판례연구, 29(2), 165-216.
- 안현철·이형용(2009), “투자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의 다중 인공지능 기법 결합 모형: KOSPI에의 응용,” e-비즈니스연구, 10(1), 215-236.
- 오승한(2010), “배타조건부 거래를 포함하는 시장선점·봉쇄전략에 대한 단계별 위법성 판단절차,” 비교사법, 1(4), 431-487.
- 오희장(2014), “브랜드 지속성과 재무적 성과,” 경영학연구, 43(6), 1993-2010.
- 유재필·한창훈·신현준(2016), “빅데이터 트렌드를 이용한 섹터 투자 전략,” 정보화 연구(구 정보기술아키텍쳐연구), 13(1), 111-121.
- 원종현(2015), “핀테크의 도입과 규제환경. ie 매거진, 22(4), 10-21.
- 이광상(2017), “미국 웰스파고의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 제공 전략,” 주간금융브리프, 26(12), 22-23.
- 이범용(2018), “로보어드바이저를 둘러싼 주요 쟁점,”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
- 이성복(2016), “로보어드바이저가 미국 자산관리시장에 미친 영향,” 자본시장리뷰, 자본시장연구.
- 이성호·설라영·김은희(2015), “신기술 발전에 따른 산업 지형의 변화 전망과 대응 전략,” 정책연구 - 제1권 종합편 : 분석 틀과 사례 요약, 12, 1-216.
- 이영찬(2005), “온라인 소매기업의 선점효과와 성장전략에 관한 동태적 분석,” 대한경영학회지, 18(5), 1927-1969.
- 이우식(2017), “딥러닝분석과 기술적 분석 지표를 이용한 한국 코스피주가지수 방향성 예측,”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8(2), 287-295.
- 이재웅·김영식·권오병(2016),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한 금융소비자 유형화 및 그에 따른 금융상품 추천 방법,” 한국 IT 서비스학회지, 15(4), 1-24.
- 이준구(2013), 미시경제학, 제6판, 경기, 문우사.
- 이호영(2010), “통신사업자의 경품지급 및 차별적 요금할인행위 등의 규제에 관한 연구,” 법학논총, 27(2), 179-200.
- 이효섭(2016), AI가 금융투자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 과제, 한국증권법학회·자본시장연구원.
- 임병태(2017), “최근 美 로보어드바이저 시장 동향,” 금융투자협회.
- 임철수(2017), “핀테크 기술과 서비스 활성화 이슈 및 시사점 연구,”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13(1), 36-44.
- 전균·김승종(2015), “한국의 로보어드바이저 현황 및 발전 방향,” ie 매거진, 22(4), 37-41.
- 정인(2015), “KB 지식비타민: 로보어드바이저의 부상과 자산관리 서비스의 변화,”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14(22).
- 정희선·김범준(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쟁력 제고를 위한 조세지원 방안,” Korea Business Review, 21(4), 199-218.
- 조성익(2014), 유통기업의 가격설정능력과 전자상거래의 효과: 도서유통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원.
- 조수빈·이철·정재휘(2017), “국내 제조 산업의 R&D 투자가 기술수출에 미치는 효과와 과정,” 경영학연구, 46(2), 481-501.
- 주강진·이민화·양희진·류두진(2016), “핀테크 산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증권학회지, 45(1), 145-170.
- 주강진·이민화·양희진·류두진(2017),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현황, 사례, 규제에 대한 개괄적 고찰,” 한국경영과학회지, 42(4), 1-14.
- 최원우·류두진(2018), “하이브리드 로보어드바이저 활용의 사례와 제언,” Korea Business Review. 게재예정.
- 한국금융연구원(2016), “국제금융 이슈: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의 기능과 한계,” 주간금융브리프, 25(13), 18-19.
- 현대경제연구원(2013),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VIP 리포트 독일 제조업 경쟁력의 핵심 요인,” VIP Report, 543, 1-24.
- Ballester, M., M. Garcia-Ayuso, and J. Livnat(2003), “The Economic Value of the R&D Intangible Asset,” European Accounting Review, 12(4), 605-633. [https://doi.org/10.1080/09638180310001628437]
- Baweja, B., Donovan, P., Haefele, M., Siddiqi, L., and Smiles, S. (2016), Extreme Automation and Connectivity: The Global, Regional, and Investment Implication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BS White Paper for the World Economic Forum Annual Meeting 2016. UBS Group AG, Zurich.
- Burnmark(2017), Digital Wealth, Burnmark Report.
- Callen, J.L., and M. Morel(2005), “The Valuation Relevance of R&D Expenditures: Time Series Evidence,” International Review of Financial Analysis, 14(3), 304-325. [https://doi.org/10.1016/j.irfa.2004.10.007]
- Epperson, T., B. Hedges, U. Singh, and M. Gabel (2015), “Hype vs. Reality: The Coming Waves of ”Robo“ Adoption,” AT Kearney.
- Von Stackelberg, H.F.(2010), Market Structure and Equilibrium.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https://doi.org/10.1007/978-3-642-12586-7]
- Yochim, D.(2018), Schwab Intelligent Portfolios Review, Nerdwallet.
• 저자 임혜진은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에서 학사학위를 받고, 현재 같은 대학원 석박사통합과정에 재학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미시경제학, 수리경제학, 시장미시구조, 4차산업과 금융시장이다.
• 저자 류두진은 서울대 전기공학부를 졸업하고 KAIST 경영대학에서 Finance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국민연금공단 부연구위원, 한국외대 국제경영학과 교수,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 경제학과 정년보장 교수로 재직 중이며, 스포츠과학대학 교수를 겸직하고 있다. SSCI 학술지인 Emerging Markets Review와 Investment Analysts Journal의 Editor이다. 자본시장, 시장미시구조, 파생금융상품, 행태재무, 기업재무, CSR, 핀테크, 빅데이터 등을 연구한다.
• 저자 양희진은 성균관대 경영전문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리스크관리에서 senior consultant로 일하였다. 성균관대 경제학과에서 Finance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여, 현재 숭실대 금융학부에 조교수(연구중점교수)로 재직 중이다. 투자론, 금융시장미시구조, 파생금융상품시장, 행태재무와 같은 전통적인 재무론 연구와 핀테크,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과 같은 디지털 금융 분야의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여, 국제저명 SSCI학술지에 10여편의 논문을 게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