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요양보험 시설수가 수준에 대한 연구 : 활동기준원가계산법을 중심으로
초록
본 연구는 2008년부터 시행되어 오고 있는 우리나라의 장기요양보험제도 중 노인요양시설 수가를 활동기준원가계산(ABC: Activity Based Costing) 방법을 적용하여 투입원가의 관점에서 추정해보고자 한다. 또한 추정된 수가를 현행 보건복지부의 수가와 비교해보고자 한다. 기존의 장기요양보험수가는 규범적 기준에 의한 ‘표준모형’에 근거하여 설정되었으나 이러한 수가의 적정성과 현실성에 대해 요양서비스 제공기관과 보건복지부간 시각차가 존재하였고 공감대가 부족하였다.
지방 소재 2개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입소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14개의 활동으로 구분하여 타임스터디를 수행한 후 활동기준원가 관점에서 등급별 수가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1일 1인 기준 1등급 66,428원, 2등급 66,508원, 3등급 63,111원, 4등급 57,393원으로 추정되었다. 참고로 보건복지부의 2017년 노인요양시설 수가는 1일 기준 1등급 59,330원, 2등급 55,060원, 3등급 50,770원, 4등급 50,770원이므로, 활동기준 원가의 추정수가가 현행 수가보다 최소 7,098원~최대 12,341로 약 12%~24.3% 정도 낮게 나타났다. 현행 수가가 원가기준의 수가 추정치에 미달한다는 의미는 현행 수가수준이 서비스 제공 기관에서 요양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발생하는 원가를 보전해주지 못함을 의미한다. 아울러 2등급 수가추정치가 1등급 수가추정치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1등급 수가가 2등급 수가보다 높은 현행 수가체계와는 상이함이 발견되었다. 이를 근거로 현행 등급별 수가체계에 대한 추가 고려가 필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첫째, 2017년 시점에서의 요양기관에서 입소자에게 제공되는 요양서비스 시간을 파악하여 장기요양보험수가를 추정하였다는 점이며, 둘째, 활동기준원가 관점을 적용하여 입소자 1인당 차별적인 자원소모 항목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수가추정을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본 연구의 접근과 분석은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가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이후 처음이며, 특히 제도적 관점의 ‘표준모형’과는 다른 투입원가 관점에서 수가를 추정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2개 기관 1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 등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ationality of insurance fees for long - term care insurance from an accounting perspective. Specifically, we will examine the adequacy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fees of elderly nursing homes under the view of activity-based costing (ABC).
After classifying the services provided to residents in the nursing care facilities into 14 major activity categories, the cost per activity was estimated based on the cost drivers for each activ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st grade KRW 66,428, 2nd grade KRW 66,508, 3rd grade KRW 63,111, and 4th grade KRW 57,393.
For reference, the insurance fees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 2017 is KRW 59,330 for the 1st grade, KRW 55,060 won for the 2nd grade, KRW 50,770 for the 3rd grade and KRW 50,770 for the 4th grade. Therefore, the estimated insurance fees based on the activity cost is about KRW 7,098 to KRW 12,341, 12%~24.3% lower than the others.
The fact that the level of current insurance fees are lower than the estimates of the long-term care cost means that the current insurance fees do not maintain the actual cost level incurred by the care institu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econd grade number of KRW 66,508 is larger than the first grade number of KRW 66,428. It means that the level of first grade fee is different from the current insurance system which is higher than the second grade number.
Keywords:
insurance fees for long-term care, activity based costing키워드:
장기요양보험 시설수가, 활동기준원가계산, 표준모형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2017년 (재)동일문화장학재단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심사과정 중 유익한 조언을 해 주신 익명의 심사위원님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아울러 타임스터디를 수행하는데 도움을 준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신준하 석사, 사회복지학부 이현석 석사과정과 사회복지학부 권병준, 진성호에게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References
- 김선민·김은경·김세라·이윤태·강대욱(2001), “의료전달체계 확립을 위한 장기요양서비스 관련 수가체계 개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김진현·임은실·서동민·김윤희·주미경·정수용·배현지·임효민·최영은(2014), “장기요양기관 경영수지 분석 및 가산제도 관리방안,” 국민건강보험공단·서울대학교.
- 석재은(2008), “장기요양보험수가개발의 특성과 정책과제,” 한국노년학회 3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고령사회 노인문제와 장기요양보험의 과제.
- 선우덕·김찬우·최정수·최혜지·연병길·원장원·신형익·이주희·임정기·김윤미(2007),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범사업 평가연구(2차)-장기요양수요조사, 장기요양인정체계 및 장요양서비스이용지원체계 부문,”
- 안태식·오동일·정형록(2007), “활동기준원가계산을 통한 약국의료원가 및 수가연구,” 세무와회계저널, 8(3) 33-52.
- 이수정(2004), “활동기준원가계산(ABC)을 적용한 가정 간호 원가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4(6), 1117-1128.
- 이지윤(2006), “노인요양시설수가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사학위 논문.
- 은광석(2015), “원가중심수가 vs. 비용중심수가,” 노인요양서비스연구소 제7회 열린세미나 자료집.
- 장현숙(2010), “장기요양수가 결정 구조개선 방안,” 건강보험공단 세미나 자료집.
- 정형선·이해종·서영준·신정우(2015), “장기요양기관 경영수지 분석 및 5등급 신설 가산항목과 급여제공기준 효과성 분석,” 국민건강보험공단·한국사회보장학회.
- 주순제(2007), “활동기준 원가시스템의 활용방안,” 한국학술정보(주), 106-109.
- 최병호·신호성·허순임·선우덕·변용찬·김상철·석재은·이진석·오동일·최영·정형선·임정기·이수형(2007),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시범사업 평가연구(2차)-수가, 표준시설모형, 표준수발서비스, 질 관리 부문,”
- 한국은행 보고자료(2016. 11.17), “주요 선진국의 고령층 고용현황 비교 및 시사점,”
- Center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2001), “Appropriateness of Minimum Nurse Staffing Ratios in Nursing Home, Phase Ⅱ Study”.
- Harrington C,, Carrillo H., Mullan J., and Swan JH.(1999). “Nursing Home Staffing in the States: The 1991-1995 Period,” Medical Care Research and Review, 55(3), 334-363. [https://doi.org/10.1177/107755879805500306]
- Udpa, S.(1996), “Activity-based Costing for Hospitals,” Health Care Management Review; Summer, 83-96. [https://doi.org/10.1097/00004010-199602130-00009]
- Wodchis. W. P.(1998), “Applying Activity-based Costing in Long Term Care,” Healthcare Management Forum, 11(4), 25-32. [https://doi.org/10.1016/S0840-4704(10)61020-4]
• 저자 배성호는 현재 경북대학교 경상대학 경영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을 졸업 후 삼일회계법인에서 공인회계사로 근무하였으며, 이 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과(회계학전공)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재무회계와 세무회계 등이다.
• 저자 신창환은 현재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부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에서 문학사, 행정학 석사 및 사회복지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사회복지의 시장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사회적기업, 사회서비스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