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보고서의 강조사항 유형별 감사보고시차
초록
본 연구는 감사보고서의 강조사항 기재가 감사보고시차와 관련성을 갖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관련성이 강조사항 유형별로 차별적인 결과를 나타내는지를 검토함으로써 재무정보이용자들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중요한 강조사항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강조사항은 주로 부정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경영자와 감사인 간의 갈등상황을 야기하여 감사보고서일을 지연시키는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박종성 외 2011). 따라서 감사보고시차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갖는 강조사항일수록 높은 위험과 관련될 가능성이 크다.
강조사항문단 기재가 변경 시행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210개 기업-연도 표본을 이용한 분석결과, 최근 사업연도에도 감사보고서 강조사항 기재가 감사보고시차와 유의한 정(+)의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조사항문단 중 계속기업 불확실성, 회계변경 및 보고기간 후 사건에 대해서만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 이들 강조사항에 대해서는 정책당국과 정보이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강조사항 유형별로 기업위험과의 관련성이 차별적으로 나타남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계속기업 불확실성, 회계변경 및 보고기간 후 사건과 관련된 강조사항이 감사대상 회사의 높은 위험과 관련되는 만큼 규제기관의 관심과 감독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주된 공헌점이 존재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emphasis of matter paragraph (thereafter ‘EMP’) described in an audit report is related to the audit report lag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is differential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mphasis. This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what emphasis the financial information users should consider more importantly when making decisions. EMP is used to deliver negative information, thus causing a conflict between the manager and the auditor, thus delaying the audit report (Park et al. 2011). Therefore, it is likely that EMP having a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 audit reporting lag involves high risk.
Empirical results using 3,210 Korean listed firm-year observations from 2014 to 2016 show that EMP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audit report lag. In particular, going concern, accounting changes, and events after the fiscal year end EMP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udit report lag, indicating that these emphases are necessary to be closely monitored by policy authorities and information users.
Our find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 and the audit report lag is differential by emphasis types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xtending the prior resear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raised the need for adequate oversight and policy of the regulatory body about going concern, accounting changes, and events after the fiscal year end EMPs.
Keywords:
audit report, emphasis of matter, going concern opinion, events after the balance sheet date, audit report lag키워드:
감사보고서, 강조사항, 계속기업, 보고기간 후 사건, 감사보고시차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교육연구진흥과제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This paper was supported by Education and Research promotion program of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 Education in 2019.
References
- 강내철, 김길훈(2007), “분기검토가 연차보고의 적시성에 미치는 영향,” 회계연구, 12(2), 153-175.
- 강내철, 김성환(2008), “연결실체의 복잡성으로 인한 재무보고 지연에 관한 연구,” 회계·세무와 감사연구, 47, 281-307.
- 강내철, 이아영(2009), “지분법 회계가 감사보고시차에 미치는 영향,” 회계연구, 14(1), 121-145.
- 김미현(2013), “계속기업 불확실성 의견 이후의 분기별 시장반응,” 숙명여자대학교 학위논문.
- 김은, 김태석(2012), “감사인 변경이 재무보고의 적시성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경영학회지, 9, 1-23.
- 김정애(2010), “코스닥상장기업의 최대주주 변경과 이익조정,” 회계정보연구, 28(3), 131-161
- 김태동, 배창현(2016), “재무보고 적시성이 기업의 신용평가에 미치는 영향 -감사보고시차를 중심으로-,” 회계저널, 25(3), 131-156.
- 김평기(2011), “소송위험이 적시성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산업경제연구, 24(2), 845-867.
- 김학운, 손혁, 이효익(2013), “계속기업특기사항과 보수주의,” 회계저널, 22(1), 77-105.
- 김학운(2013), “계속기업특기사항 기업의 재무보고특성,”회계저널, 22(6), 143-178.
- 김학운(2014), “감사의견 표현방법에 따른 이익조정: 계속기업특기사항을 중심으로,” 회계저널, 23(6), 267-307.
- 김혜리(2018), “최대주주 변경의 유형이 기업위험에 미치는 영향,” 상업교육연구, 32(1), 71-98.
- 권수영, 김문철(2001), “감사보수의 결정요인과 감사보수체계 변화로 인한 효과분석,” 회계학연구, 26(2), 115-144.
- 나종길, 최기호(2004), “회계발생의 수준이 감사시차에 미치는 영향,” 회계학연구, 29, 179-205.
- 노희천, 임규한, 전영준(2012), “감사보고서 발행시차와 재무보고품질 사이의 관계,” 세무와 회계저널, 13 (3), 249-279.
- 박종성, 오윤숙, 조은주, 조은혜(2011), “감사인과 경영자 간 갈등상황이 존재할 때 감사보고서 발행이 지연되는가?,” 회계연구, 16(4), 73-99.
- 박종성, 황선영, 유상훈(2015), “계속기업 불확실성 관련 특기사항 기재가 신용등급 및 타인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세무와 회계저널, 16(6), 9-41.
- 박종일, 최관(2009), “비정상적인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이 재량적 발생액에 미치는 영향,” 세무와 회계저널, 10(3), 265-301.
- 배창현, 손성규(2013), “지배주주와 소액주주 사이의 대리인문제가 외부감사에 미치는 영향: 감사보고시차를 중심으로,” 회계·세무와 감사연구, 55(2), 249-275.
- 배창현, 우용상(2014), “특수관계자와의 거래가 감사시차에 미치는 영향,” 회계연구, 19(2), 1-28.
- 이윤원, 박홍철(2003), “계속기업의문 특기사항의 정보효과,” 회계저널, 12, 87-105.
- 윤승한, 황인태(2015), “감사보고서 작성시 강조사항등에 관한 연구,” 회계·세무와 감사연구, 57(2), 1-52.
- 장석진, 이세철, 인창열(2016), “불성실공시와 감사보고시차,” 회계·세무와 감사연구, 58(4), 87-116.
- 전영순, 노준화, 배길수(2004), “감사보고서상 특기사항의 기재유인,” 회계학연구, 29, 59-81.
- 정기위, 손성규(2009), “외국인 투자자의 지분율이 감사보고시차에 미치는 영향,” 연세경영연구, 46(1), 45-70.
- 황국재, 김기범, 이아영(2008), “내부회계관리제도가 외부감사에 미친 영향-감사보고시차를 중심으로,” 회계저널, 17, 121-154.
- Al-Ajmi, J.(2008), “Audit and reporting delays: Evidence from an emerging market,” Advances in Accounting, 24(2), 217-226. [https://doi.org/10.1016/j.adiac.2008.08.002]
- Amin, K., J. Krishnan, and J. S. Yang(2014), “Going concern opinion and cost of equity,” Auditing: A Journal of Practice & Theory, 33(4), 1-39. [https://doi.org/10.2308/ajpt-50827]
- Ashton, R. H., J. J. Willingham, and R. K. Elliott (1987), “An empirical analysis of audit delay,”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275-292. [https://doi.org/10.2307/2491018]
- Bamber, E. M., L. S. Bamber, and M. P. Schoderbek (1993), “Audit structure and other determinants of audit report lag: An empirical analysis,” Auditing: A Journal of Practice & Theory, 12(1), 1-23.
- Behn, B. K., D. L. Searcy, and J. B. Woodroof(2006), “A within firm analysis of current and expected future audit lag determinants,”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0(1), 65-86. [https://doi.org/10.2308/jis.2006.20.1.65]
- Bessell, M., A. Anandarajan, and A. Umar(2003), “Information content, audit reports and going-concern: an Australian study,” Accounting and Finance, 43, 261-282. [https://doi.org/10.1111/j.1467-629x.2003.00091.x]
- Blankley, A. I., D. N. Hurtt, and J. E. MacGregor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 report lags and future restatements,” Auditing: A Journal of Practice & Theory, 33(2), 27-57. [https://doi.org/10.2308/ajpt-50667]
- Butler, M., A. J. Leone, and M. Willenborg(2004), “An empirical analysis of auditor reporting and its association with abnormal accruals,”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37, 139-165. [https://doi.org/10.1016/j.jacceco.2003.06.004]
- Carslaw, C. A., and S. E. Kaplan(1991), “An examination of audit delay: Further evidence from New Zealand,” Accounting and Business Research, 22(85), 21-32. [https://doi.org/10.1080/00014788.1991.9729414]
- Costa, F. M., and B. Funchala(2008). Auditor behavior and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the (new) role of an “emphasis of a matter” paragraph. FUCAPE Business School, 24, 1-24.
- Czerney, K., J. J. Schmidt, and A. M. Thompson (2014), “Does auditor explantory language in unqualified audit reports indicate increased financial misstatement risk?,” The Accounting Review, 89(6), 2115-2145. [https://doi.org/10.2308/accr-50836]
- Elias, R. Z., and J. G. Johnston(2001), “Is there incremental information content in the going concern explanatory paragraph?” Advances in Accounting, 18, 105-117. [https://doi.org/10.1016/S0882-6110(01)18007-7]
- Ettredge, M. L., C. Li, L. Sun(2006), “The impact of SOX Section 404 internal control quality assessment on audit delay in the SOX era,” Auditing: A Journal of Practice & Theory, 25(2), 1-23. [https://doi.org/10.2308/aud.2006.25.2.1]
- Gallizo J. L., and R. Saladrigues(2016),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going concern audit opinion: Evidence from Spain stock exchange,” Intangible Capital, 12(1), 1-16. [https://doi.org/10.3926/ic.683]
- Habib, A., and M. B. U. Bhuiyan(2011), “Audit firm industry specialization and the audit report lag,” Journal of International Accounting, Auditing and Taxation, 20(1), 32-44. [https://doi.org/10.1016/j.intaccaudtax.2010.12.004]
- Knechel, W. R., and J. L. Payne(2001), “Additional evidence on audit report lag,” Auditing: A Journal of Practice & Theory, 20(1), 137-146. [https://doi.org/10.2308/aud.2001.20.1.137]
- Kothari, S. P., A. J. Leone,, and C. E. Wasley (2005). “Performance matched discretionary accrual measures,”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39(1), 163-197. [https://doi.org/10.1016/j.jacceco.2004.11.002]
- Lee, H., and G. Jahng(2008), “Determinants of audit report lag: Evidence from Korea-an examination of auditor-related factors,” Journal of Applied Business Research, 24(2), 27-44. [https://doi.org/10.19030/jabr.v24i2.1352]
- LIM, C. Y., and H. T. TAN(2008). “Non‐audit service fees and audit quality: The impact of auditor specialization.”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46(1), 199-246. [https://doi.org/10.1111/j.1475-679X.2007.00266.x]
- Menon, K., and D. D. Williams(2010), “Investor reaction to going concern audit reports,” The Accounting Review, 85(6), 2075-2105. [https://doi.org/10.2308/accr.2010.85.6.2075]
- Morris, M. H., and W. D. Nichols(1988), “Consistency exceptions: Materiality judgments and audit firm structure,” The Accounting Review, 63 (2), 237-254.
- Naimi, M., M. Nor, S. Rohami, and W. N. Wan-Hussin(2010), “Corporate governance and audit report lag in Malaysia,” Working paper
- Newton, J. D., and R. H. Ashton(1989), “The association between audit technology and audit delay,” Auditing-a Journal of Practice & Theory, 8, 22-37.
- Reichelt, K. J., and D. Wang(2010). “National and office‐specific measures of auditor industry expertise and effects on audit quality,”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48(3), 647-686. [https://doi.org/10.1111/j.1475-679X.2009.00363.x]
- Schwartz, K. B., and B. S. Soo(1996), “The association between auditor changes and reporting lags,” Contemporary Accounting Research, 13(1), 353-370. [https://doi.org/10.1111/j.1911-3846.1996.tb00505.x]
- Sirois, L. P., J. Bédard, and P. Bera(2018), “The informational value of key audit matters in the auditor's report: evidence from an Eye-tracking study,” Accounting Horizons, Forthcoming [https://doi.org/10.2308/acch-52047]
• 저자 정남철은 현재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을 졸업하였으며, 서울시립대학교에서 세무학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에서 경영학박사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 취득 후에는 고려대학교 연구교수를 역임하였다. 회계감사, 세무회계 및 관리회계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 저자 김현아는 현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하였으며, 동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및 박사를 취득하였다. 박사 학위 취득 이전에 공인회계사로 삼일회계법인과 한국증권금융에서 근무하였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기업지배구조, 회계감사 및 세무 등이다.
• 저자 최진욱은 현재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정보 전공 석박사통합과정에 재학 중이다. 가천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였다. 관심 연구분야는 데이터 마이닝, 기계학습, 비정형 데이터 분석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