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장의 이슈리더십이 팀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후원인식과 팀장조직형상화의 효과를 중심으로
초록
본 연구는 팀장의 이슈리더십이 팀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슈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메커니즘으로 조직후원인식을 살펴보았고, 상황요인으로 팀장조직형상화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서 팀장 101명과 팀원 101명을 짝(dyad)으로 연결한 설문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시간차를 두고 10일 단위로 3회 측정하여 동일방법편의로 인한 연구결과의 왜곡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팀장의 이슈리더십은 팀원의 혁신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었으나 조직후원인식을 통해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장조직형상화는 이슈리더십과 조직후원인식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더욱이 이슈리더십이 조직후원인식을 통해 팀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팀장조직형상화에 의해 긍정적으로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팀장이 조직의 특성과 유사성이 클수록 매개효과는 더욱 강화되었다. 본 연구는 이슈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엄격한 연구 설계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두 변수간의 관계에서 조직후원인식과 팀장조직형상화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upervisor‘s issue leadership on the subordinate's innovative behavior. In particular, the impa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s a mechanism and the impact of supervisor’s organizational embodiment as a boundary condition were investigated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We utilized the time-difference research design to minimize the common method bias through the web-based mobile survey, and finally analyzed one hundred one sets (dyad) of questionnaire from both subordinates and their supervisor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upervisor's issue leadership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ubordinate's innovative behavior,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was fully mediated through subordinat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us, supervisor’s organizational embodi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of issue leadership -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innovative behavior was positively moderated by supervisor’s organizational embodiment. In other words, the more the supervisor ha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 greater the mediating effect. This study add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with a more rigorous research design while simultaneously applying the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supervisor’s organizational embodiment.
Keywords:
Issue leadership,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upervisor’s organizational embodiment, Innovative behavior키워드:
이슈리더십, 조직후원인식, 팀장조직형상화, 혁신행동References
- 김동산(2014). “이슈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간의 관계에서 조직후원인식(POS)의 매개효과 검증.” 리더십연구, 5, 121-140.
- 김동산·백기복·김보영(2014). “이슈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검증.” 인사조직연구, 22, 99-136.
- 김봉환(2011).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 대한 매개효과 연구.” 한국비즈니스리뷰, 4(2), 1-33.
- 김재훈(2015). “집단정체성, 네트워크 중심성, 구성원의 이슈리더십과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리더십연구, 6, 45-82.
- 김종관(2017). “현대적 리더십 연구의 특징과 공유리더십의 팀 효과성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 (6), 207-217.
- 박건규·이희승(2016). “중간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이 종사원의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73(단일호), 201-218.
- 박계홍·김학준(2010). “팀장에 대한 신뢰가 혁신행동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임파워먼트와 커뮤니케이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24(2), 105-129.
- 박원우·김미숙·정상명·허규만(2007). “동일방법편의 (Common Method Bias)의 원인과 해결방안.” 인사조직연구, 15, 89-133.
- 배병렬(2006). LISREL 구조방정식모델. 서울: 청람.
- 백규선·백기복·김익택(2015). “시나리오 실험법을 통한 이슈리더십과 리더호감 간의 향상초점의 조절효과 검증.” 대한경영학회지, 28(3), 939-959.
- 백기복(2000). 이슈리더십. 서울: 창민사.
- 백기복(2005). 리더십리뷰: 이론과 실제. 서울: 창민사.
- 백유성·신영숙(2007). 이슈리더십, 임파워먼트 및 조직 성과와의 관계.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1-25.
- 변영실·백기복(2015). “이슈리더십과 혁신행동 관계에 있어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9), 494-508.
- 송종영·백기복·최우재(2016). “이슈리더십이 팀원의 창의적 행동과 발언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관계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0, 171-195.
- 신성현·백기복·최지선(2015). “이슈리더십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팀장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6), 463-476.
- 양동민·심덕섭(2013). “변혁적 리더십이 역할행동, 조직시민행동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2(1), 121-152.
- 오호준·신제구(2017). “이슈 리더십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집합적 리더십에 의해 조절된 집단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리더십 연구, 9(1), 115-150.
- 우종필(2014).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출판사.
- 유재익·정동섭(2015). 진정성리더십이 직무몰입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981-1014.
- 유혜식·홍아정(2015).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폐기학습의 매개효과.” 한국 HRD 연구, 10, 101-127.
- 윤대혁·정순태(2006). “변혁적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3(3), 139-169.
- 윤인한·장영철(2015). “건설현장 소장의 진성리더십이 현장직원의 조직시민행동, 종업원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후원인식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2(2), 65-86.
- 이상윤·이정열(2014). “중국기업 리더십, 기업문화, 조직지원인식 및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21(3), 47-79.
- 이연택·이도연·김종우(2007). “개인특성과 사회적 교환관계가 호텔종사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27(4), 1821-1848.
- 이재희·백기복(2006). “이슈 리더십과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79-115.
- 이지우·김종우·김일천(2003).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조직지원이 종합병원 직원들의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건행정학회지, 13(1), 46-68.
- 이창준·윤정구(2007). “정서와 리더십에 대한 한 이론적 모형의 검증-카리스마적 및 감성적 리더십, 집단정서, 집단효과성.” 인사조직연구, 15, 1-51.
- 이형용·양우진·최영민(2010). “호텔 직원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선제적 행동의 관계에서 조직후원인식의 매개역할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34(7), 85-110.
- 최경춘·남유진·심선아(2017). “이슈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에서 팀장정치지각의 매개효과와 신바람의 조절효과 검증.” 리더십연구, 8, 57-79.
- 최우재·백기복·신제구(2018), “제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리더십은 무엇인가?” KBR, 22(3), 175-195.
- 최우재·조윤형(2013). “진성리더십이 팀원의 심리적 웰빙과 적응적 수행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21, 185-228.
- 한봉주(2012). “조직의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위계적 선형모형(HLM) 을 이용한 분석수준별 비교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19(2), 147-166.
- 홍계훈·이수정(2013). “카리스마적 리더십과 팀 혁신행동 및 주관적 팀 성과 간의 관계들에 대한 팀 효능감과 팀 긍정정서의 매개효과.” 경영학연구, 42(1), 321-351.
- Ansoff, H. I. (1980). “Strategic issue management.”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2), 131-148. [https://doi.org/10.1002/smj.4250010204]
- Amabile, T. M., Conti, R., Coon, H., Lazenby, J., and Herron, M. (1996).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5), 1154-1184. [https://doi.org/10.2307/256995]
- Baran, B. E., Shanock, L. R., and Miller, L. R. (2012). “Advancing organizational support theory into the twenty-first century world of work.”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27(2), 123-147. [https://doi.org/10.1007/s10869-011-9236-3]
- Blau, P. M. (1964).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Transaction Publishers.
- Conger, J. A., and Kanungo, R. N. (1987). “Toward a behavioral theory of charismatic leadership in organizational setting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2(4), 637-647. [https://doi.org/10.5465/amr.1987.4306715]
- Crable, R. E., and Vibbert, S. L. (1985). “Managing issues and influencing public policy.” Public Relations Review, 11(2), 3-16. [https://doi.org/10.1016/S0363-8111(82)80114-8]
- David, V. D, Hock-Peng, S. (2011). “Longitudinal tests of an integrative model of leader development: Charting and understanding developmental trajectories.” Leadership Quarterly, 22(3), 545-560. [https://doi.org/10.1016/j.leaqua.2011.04.011]
- Drucker, P. F. (2002). The discipline of innov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80, 95-104.
- Dutton, J. E., and Ashford, S. J. (1993). “Selling issues to top manage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3), 397-428. [https://doi.org/10.5465/amr.1993.9309035145]
- Eisenberger, R., Huntington, R., Hutchison, S., and Sowa, D. (1986).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 (3), 500-507. [https://doi.org/10.1037/0021-9010.71.3.500]
- Eisenberger, R., Karagonlar, G., Stinglhamber, F., Neves, P., Becker, T. E., Gonzalez-Morales, M. G., and Steiger-Mueller, M. (2010). “Leader–member exchange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contribution of supervisor's organizational embodi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5(6), 1085-1103. [https://doi.org/10.1037/a0020858]
- Eisenberger, R., Shoss, M. K., Karagonlar, G., Gonzalez-Morales, M. G., Wickham, R. E., and Buffardi, L. C. (2014). “The supervisor POS–LMX–subordinate POS chain: Moderation by reciprocation wariness and supervisor's organizational embodimen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5(5), 635-656. [https://doi.org/10.1002/job.1877]
- Galbraith, J. R. (1982). “Designing the innovating organization.” Organizational Dynamics, 10 (3), 5-25. [https://doi.org/10.1016/0090-2616(82)90033-X]
- Gaunt, P., and Ollenburger, J. (1995). “Issues management revisited: A tool that deserves another look.” Public Relations Review, 21 (3), 199-210. [https://doi.org/10.1016/0363-8111(95)90021-7]
- Gouldner, A. W. (1960). “The norm of reciprocity: A preliminary state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5(2), 161-178. [https://doi.org/10.2307/2092623]
-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and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rson Education.
- Hayes, A. F. (2013). Multilevel mediation analysis. Paper presented at the workshop presented at the Association for Psychological Science.
- Hayes, A. F. (2015), “An Index and Test of Linear Moderated Mediation.”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50(1), 1-22. [https://doi.org/10.1080/00273171.2014.962683]
- Janssen, O. (2000). “Job demands, perceptions of effort-reward fairness and innovative work behaviou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3(3), 287-302. [https://doi.org/10.1348/096317900167038]
- Kanter, R. M. (1988). “When a Thousand Flowers Bloom: Structural, Collective, and Social Conditions for Innovation in Organizatio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 169-211.
- Kim, K. Y., Eisenberger, R., and Baik, K. (2016).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rating influenc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compete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7(4), 558-583. [https://doi.org/10.1002/job.2081]
- Kurtessis, J. N., Eisenberger, R., Ford, M. T., Buffardi, L. C., Stewart, K. A., and Adis, C. S. (2017).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 meta-analytic evalua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theory.” Journal of Management, 43(6), 1854-1884. [https://doi.org/10.1177/0149206315575554]
- Levinson, H. (1965). “Recipro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organiz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9(4), 370-390. [https://doi.org/10.2307/2391032]
- Mael, F. A., and Tetrick, L. E. (1992). “Identifying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2(4), 813-824. [https://doi.org/10.1177/0013164492052004002]
- Parker, S. K., and Axtell, C. M. (2001). “Seeing another viewpoint: Antecedents and outcomes of employee perspective tak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6), 1085-1100. [https://doi.org/10.2307/3069390]
- Podsakoff, P. M., MacKenzie, S. B., Lee, J.-Y., and Podsakoff, N. P. (2003).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5), 879-903. [https://doi.org/10.1037/0021-9010.88.5.879]
- Rhoades, L., and Eisenberger, R. (2002).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 698-714. [https://doi.org/10.1037/0021-9010.87.4.698]
- Rhoades, L., Eisenberger, R., and Armeli, S. (2001). “Affec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The contribution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 (5), 825-836. [https://doi.org/10.1037/0021-9010.86.5.825]
- Robinson, S. L., and Morrison, E. W. (2000).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nd violation: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1(5), 525-546. [https://doi.org/10.1002/1099-1379(200008)21:5<525::AID-JOB40>3.0.CO;2-T]
- Scott, S. G., and Bruce, R. A. (1994).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3), 580-607. [https://doi.org/10.2307/256701]
- Shore, L. M., and Shore, T. H. (1995).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justice. Organizational politics, justice, and support: Managing the social climate of the workplace: 149-164. Westport, CT: Quorum.
- Shoss, M. K., Eisenberger, R., Restubog, S. L. D., and Zagenczyk, T. J. (2013). “Blaming the organization for abusive supervision: The role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supervisor's organizational embodi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8(1), 158-168. [https://doi.org/10.1037/a0030687]
- Stinglhamber, F., Marique, G., Caesens, G., Hanin, D., and De Zanet, F. (2015).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followers’ affective commitment: The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supervisor’s organizational embodiment.”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20(6), 583-603. [https://doi.org/10.1108/CDI-12-2014-0158]
- Van, Knippenberg D., van Prooijen, J.-W., and Sleebos, E. (2015). “Beyond social exchange: Collectivism’s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4(1), 152-160. [https://doi.org/10.1080/1359432X.2013.858699]
- Wikhamn, W., and T. Hall, A. (2014). “Accountability and satisfaction: Organizational support as a moderator.”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9(5), 458-471. [https://doi.org/10.1108/JMP-07-2011-0022]
- Zhang, X., and Bartol, K. M. (2010). “Linking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3(1), 107-128. [https://doi.org/10.5465/amj.2010.48037118]
• 저자 박정호는 현재 하나생명에서 팀장으로 재직 중이다.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및 경영전문대학원 EMBA를 졸업하였으며, 국민대학교 경영학과 인사조직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 학위 취득 이후에는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 리더십과 코칭 MBA에서 겸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연구분야는 이슈리더십, 한국형리더십, 리더십개발론 등이다.
• 저자 최우재는 현재 청주대학교 경영대학 인사조직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Ohio State University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대경제연구원과 ㈜크레듀(현재 멀티캠퍼스)에서 근무하였다. 대한리더십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인사조직학회 및 한국인사관리학회 상임이사 등을 역임하고 있다. 주요연구분야는 리더십이며, 최근에는 공유리더십과 긍정조직학에 대한 연구를 진행중이다.
• 저자 백기복은 현재 국민대학교 경영대학 인사조직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The University of Houston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James Madison University의 경영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하다가 귀국하여 POSRI주임연구원과 POSTECH겸임교수를 지냈다. 한국인사조직학회장, 한국윤리경영학회장, 대한리더십학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연구분야는 리더십이며 이슈리더십이론과 한국형리더십이론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