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술 환경에서의 그림자 노동 메커니즘 규명 연구
초록
오늘날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은 자동화되고 지능화된 디지털 서비스를 누리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비자발적 디지털 그림자 노동이라 일컫는 불필요한 노력을 수반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 이용에 따라 파생된 사용자의 그림자 노동이 어떻게 발생되고 전개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비밀번호 변경,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환경과 스팸메일 삭제와 같은 비자발적 디지털 기술 환경 맥락에서 사용자의 그림자 노동이 어떻게 발생하고 전개되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총 12명의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69개의 코드를 추출하였으며, 유사한 개념간의 통합과정을 거쳐 6개의 주요 범주를 제시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사용자의 그림자 노동은 ‘그림자 노동에 대한 필요성 인식’, ‘행동의도에 대한 의사결정’, 그리고 ‘디지털 그림자 노동 행동완수’라는 일련의 과정에서 이루어짐을 발견하였다. 더불어 그림자 노동의 형성과정에서는 ‘해야 할 일에 대한 지각정도’, ‘디지털 그림자 노동에 대한 인지적 노력정도’, ‘디지털 기술 관리방식 고수 정도’에 따라 그림자 노동에 대한 의사결정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그림자 노동 수행에 대한 의사결정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디지털 그림자 노동수행에 대한 부정적 태도’나 ‘디지털 그림자 노동을 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태도’로 연결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그림자 노동 형성 메커니즘을 제안함으로써 학문적으로 디지털 그림자 노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디지털 그림자 노동이 경영관리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임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Abstract
In nowadays, individuals should do their unpaid labors in the form of self-service, which is so called by involuntary digital shadow work, even though they have enjoyed automated and intelligent digital services due to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In order to explore the essentials of such unique behaviors, we have aimed to identify individuals’ psychological mechanism which governs involuntary digital shadow work.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e hav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2 individuals who have prior experiences on doing involuntary digital shadow work such as changing passwords, updating applications and deleting spam-mails.
By analyzing the interview manuscripts, we have extracted 69 concepts in the coding steps and ultimately developed 6 key categories by either comparing or incorporating similar concepts from the initial concepts. In this grounded theory-based study, we found that there are two types of decision making such as decision making for formulating shadow work intention and decision choices for completing the shadow work during the interactions between human and digital technologies as trigger of initiating shadow work. This study has also found that there are two types of unique attitudes during the digital shadow environments such as negative attitude when performing shadow and attitude toward the phenomenon that occurs when individuals do not do shadow work. Finally, we have presented three types of psychologically controllable drivers such as the degree of adherence to individuals’own unique digital technology management approach, the degree of cognitive effort required for shadow work, the degree of individuals’ perception of what to do for eith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individuals’ shadow work.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both theory and practice are discussed.
Keywords:
Digital shadow work, Grounded theory methods키워드:
디지털 그림자 노동, 근거이론방법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8S1A5A2A03031352).
References
- 박상철(2015),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선택에 대한 사용자 후회,” 정보시스템연구, 24(3), pp. 75-94.
- 박상철(2019), “그림자노동 차원에서 본 IT 사용자의 비밀번호 변경행동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28(2), pp.93-107.
- 박상철, 이웅규 (2019), “문헌고찰을 위한 근거이론방법의 활용: 디지털 환경에서의 그림자 노동 개념 도출,” 지식경영연구, 20(2), pp.183-195.
- 박상철, 이웅규(2017), “근거이론을 활용한 멀티채널 사용자의 크로스오버 쇼핑행동 이해,” Information Systems Review, 19(3), pp.179-199.
- 이웅규(2015), “<튜토리얼> 비사용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론,” 정보시스템연구, 24(3), pp.155-169.
- Ajzen, I.(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pp.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 Bhattacherjee, A.(2001),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 MIS Quarterly, 25(3), pp.351-370. [https://doi.org/10.2307/3250921]
- Davis, F. D.(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pp.319-340. [https://doi.org/10.2307/249008]
- Ferratt, T., Prasad, J., Dunne, E.J.(2018), “Fast and Slow Processes Underlying Theories of Information Technology Use,”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19(1), pp.1-22. [https://doi.org/10.17705/1jais.00482]
- Lambert, C.(2015), Shadow Work: The Unpaid, Unseen Jobs That Fill Your Day, Counterpoint Press.
- Limayem, M., Hirt, S. G., Cheung, C. M. K.(2007), How Habit Limits the Predictive Power of Intentions: The Case of IS Continuance,” MIS Quarterly, 31(4), pp.705-737. [https://doi.org/10.2307/25148817]
- Stemler, S.(2001). “An Overview of Content Analysi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7(17), pp.137-146.
- Strauss, A. and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 Thaler, R. H., and Sunstein, C. R.(2008), Nudge: Improving Decisions about Health, Wealth, and Happiness. Yale University Press.
- Venkatesh, V., Morris, M.G., Davis, G.B., Davis, F.D.(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pp. 425-478. [https://doi.org/10.2307/30036540]
- Venkatesh, V., Thong, J. Y. L., and Xu, X.(2012), “Consumer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MIS Quarterly, 36(1), pp.157-178. [https://doi.org/10.2307/41410412]
• 저자 박상철은 대구대학교 경영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성균관대학교에서 경영정보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조지아주립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행동경제학 관점에서의 IT 사용자 행동, 디지털 기술과 그림자 노동 등이며, 이와 관련하여 JAIS, EJIS, ISJ, JGIM, CHIB 등 20편의 해외저널과 경영학연구, 정보시스템연구 등 60여편의 국내저널에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 저자 이웅규는 대구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KAIST에서 경영과학 석사와 경영공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KT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재직하였다. 한국정보시스템학회 회장과 ISR 편집위원장, 정보시스템연구 편집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전통적인 정보기술 사용 행태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질적 연구 방법론을 기반으로 정보기술 비사용, 크로스오버 쇼핑 행동, 그림자 노동 등 고도화된 정보기술 사용 환경 하에서의 새로운 사용자 행태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 저자 고준은 현재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KAIST 산업경영학과를 졸업하고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에서 석사(조직론 전공)와 박사(경영정보시스템 전공)를 취득하였다. 박사 학위 취득 이후에는 삼성전자반도체에서 지식경영 담당과장으로 근무한 바 있으며 2005년 전남대로 임용된 후에는 전남대 경영전문대학원 부원장(기술경영MBA 설치), 한국고객센터서비스학회장, 한국정보전략학회장, 지식경영연구 편집위원장, 전남대 융합인재교육원장, 한국경영학회 경영관련 통합학술대회 조직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JAIS, CACM, I&M, IJEC, JCIS, ECRA, JKM, IJHRM, ESWA, APJIS 등을 포함한 국내외 저널과 ICIS, HICSS, PACIS, ECIS, IRMA 등의 국내외 학회에 100여 편의 논문을 게재 또는 발표해 왔으며, 주요한 연구분야는 지식생태계, 플랫폼 경영, 고객지식관리, 디지털 환경에서의 그림자 노동과 시니어의 정보기술 활용 행태 등이다.
• 저자 류성열은 현재 대진대학교 경영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 학위 취득 이후에는 미국 멤피스대학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한 바 있다. 주요연구분야는 supply chain management, knowledge management in supply chain, information management capability, social impacts of IT 등이다.